업종별 분산의 핵심 원칙 – 비상관 자산을 섞는 법

서론 포트폴리오 구성 시 단순히 여러 종목을 담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분산이 아닙니다. 핵심은 비상관 자산 즉, 서로 가격 움직임이 크게 엮이지 않는 업종이나 자산을 함께 섞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업종별 분산의 원칙과 실전에서 어떻게 비상관 자산을 조합할지 전략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본론 1. 상관관계 이해하기 두 자산이 얼마나 같이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값이 상관계수입니다. +1에 가까울수록 매우 유사하게 움직이며, –1에 가까울수록 반대로 움직입니다. 분산 효과를 최대화하려면 상관계수가 낮거나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자산들을 함께 배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업종 간 비상관 자산의 예 IT / 반도체 ↔ 소비재 — 기술 흐름과 소비 흐름 간 상관도가 낮은 경우 헬스케어 / 제약 ↔ 금융 — 경기 민감도나 산업 구조 차이 활용 원자재 / 에너지 ↔ 서비스 / 헬스케어 —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내수가 다른 흐름 리츠 / 부동산 ↔ 성장주 — 부동산 안정성과 성장주의 변동성 차이 3. 비중 설정과 조합 전략 주요 업종을 골고루 섞되, 서로 상관도가 낮은 조합 중심으로 과한 쏠림은 리스크 증대 — 하나의 업종 비중은 전체의 일정 비율 이하로 제한 성장 중심 업종 + 방어 중심 업종의 조합 예: IT 25% + 헬스케어 20% + 금융 15% + 리츠/부동산 10% 등 변동성이 커질 경우, 비상관성이 높은 자산 비중을 늘려 균형 유지 4. 분산의 효과와 현실 제약 분산은 리스크를 낮추지만 수익성도 일정 부분 희생될 수 있음 비상관 자산이 많아도 모두 수익이 낮거나 부진하면 전체 수익 저하 가능성 공동 리스크 (예: 경기 침체, 금리 충격) 는 자산 전체에 공통 타격 가능성 있음 거래 비용, 유동성 제약 등 현실적 제약 고려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