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성장률인 게시물 표시

성장률과 수익률, 어느 쪽이 더 중요한가? – EPS, ROE 중심의 판단법

이미지
서론 기업을 평가할 때 흔히 “성장률이 높은 기업이 좋다” 또는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안정적이다”라는 주장이 엇갈립니다. 사실 둘 다 중요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성장률을 우선해야 할지, 언제 수익률을 중시해야 할지 판단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EPS(주당순이익)** 와 **ROE(자기자본이익률)** 를 중심으로 성장률과 수익률을 비교하고, 투자 관점에서의 해석법을 정리합니다. 본론 1. EPS와 ROE의 기본 개념 EPS (Earnings Per Share):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 — 한 주당 벌어들인 이익 ROE (Return on Equity): 순이익 ÷ 자기자본 — 주주가 낸 자본 대비 이익을 얼마나 잘 냈는가 EPS는 절대 수익 크기를 보여주고, ROE는 자본 대비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2. 성장률과 수익률의 균형 기준 높은 EPS 성장률이 지속 가능한 구조인지 검토 (일회성 이익 아님) ROE가 너무 낮으면 성장률이 높더라도 자본 투입 대비 수익성이 낮을 수 있음 둘 다 높으면 가장 이상적인 상태 — ‘성장 + 효율’의 조합 성장 산업 또는 초기 단계 기업은 성장률을 더 중시, 안정 산업은 수익률 우선 전략 가능 3. 어느 쪽을 더 중시할지 가이드라인 산업 특성 고려: 고성장 산업은 성장률 중심, 안정 산업은 수익률 중심 기업 성장 단계: 초기 기업은 성장률 기준 우선, 성숙 기업은 수익률 기준 강화 리스크 허용도: 보수적 투자자라면 수익률 안정성 쪽 선택 가능성 높음 전략 혼합: 전략 포트폴리오 내 성장주 + 수익성주 혼합 배치 4. 실전 해석 팁 EPS 증가가 주당 수 증가나 지분 배당 등 기계적 요인 때문 아닌지 체크 ROE가 너무 높으면 레버리지 과다 사용 가능성 점검 과거 ...

성장률·수익률을 주간 단위로 추적하기 — WoW·언더워터·샤프 근사·자동 스냅샷

이미지
월간 보고만으로는 흐름의 변곡 을 놓치기 쉽습니다. 주간 단위(WoW)로 수익률·성장률 을 추적하면, 언더워터(드로다운) 와 변동성 , 샤프 근사 까지 한 눈에 보입니다. 오늘은 구글 시트로 ①데이터 구조 ②주간 KPI 수식 ③차트 ④금요일 21:00 자동 스냅샷/메일까지 세팅합니다. 1) 데이터 구조(주간 마감 기반) 열 라벨 예시/수식 설명 A WeekEnd 2025-09-12 해당 주 금요일(마감일) B StartBal =OFFSET(E2,-1,0) 전 주 EndBal C Inflow +500,000 입금(+)·출금(-) 분리 권장 D Outflow -120,000 출금(음수) E EndBal 직접 입력/연동 해당 주 금요일 잔고 F NetFlow =C2+D2 순유입 G WoWReturn =(E2-B2-F2)/B2 흐름 보정 수익률 H HighWater =MAX($E$2:E2) 누적 고점 I Drawdown =E2/H2-1 언더워터(음수일수록 깊음) J AssetClass 주식/채권/현금… 선택(스파게티용) 가드레일(권장선): 현금 10~15%, 주식 합산 ≤ 55%, 드리프트 |편차| ≤ 20%, 1회 이동 ≤ 3%p. 2) 주간 KPI & 연환산 지표(샤프 근사) 지표 수식(예시) 해석 평균 주간 수익률 =AVERAGE(G:G) 기대 주간 수익률 연환산 수익률 =(1+AVERAGE(G:G))^52-1 주 52회 복리 가정 ...

고급 투자자가 꼭 보는 재무지표 TOP 5 – 수익률을 바꾸는 분석법

이미지
"PER이 낮으면 무조건 저평가일까요?" "ROE가 높다고 다 좋은 주식일까요?" 저도 처음엔 단순히 숫자만 보고 투자 결정을 내렸던 시절이 있었어요. 하지만 어느 순간 깨달았습니다. 재무지표는 ‘해석’의 문제 라는 걸요. 이번 글에서는 수많은 숫자 중에서도 진짜 투자 성과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재무지표 를 심화 분석해드릴게요. 단순 정의가 아니라,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까지 알려드립니다. 1. ROE (자기자본이익률) – 기업의 수익성 핵심 ROE(Return on Equity)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이 수치는 주주의 돈으로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10% 이상 이면 좋은 기업으로 평가받습니다. 하지만 너무 높은 ROE는 부채를 과도하게 활용한 결과 일 수도 있으니, 부채비율과 함께 확인해야 해요. 2. 부채비율 – 기업의 재무 안정성 체크 부채비율 = 총부채 ÷ 자기자본 × 100% 부채비율은 기업이 얼마나 빚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100% 이하 면 비교적 안정적 200% 이상 이면 리스크가 있는 편 특히 경기 침체 시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은 파산 위험이 크므로, 꼭 체크하세요. 3. EPS (주당순이익) – 주식 1주의 실적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EPS가 꾸준히 증가한다면, 그 기업의 이익 체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증거 입니다. 또한 PER 계산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주가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판단하는 데도 필수로 사용됩니다. 4. 영업이익률 – 본업으로 돈을 잘 버는 기업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100% 기업이 본업에서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10% 이상 이면 높은 영업 효율성을 갖춘 기업 영업이익률이 낮은데 순이익은 높은 경우 , 일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