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인플레이션인 게시물 표시

10년 후 자산 목표, 지금부터 시뮬레이션! — 구글 시트 템플릿·민감도 표·가드레일

이미지
“10년 뒤 얼마를 모아야 안심할까?” 숫자로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시뮬레이션 입니다. 오늘은 현재 자산·월 저축·기대수익률·물가·수수료를 넣으면 명확한 금액 이 나오는 구글 시트 수식 과 보수/중립/공격 3시나리오 , 민감도 표 를 한 번에 세팅합니다. 마지막엔 실패를 줄이는 가드레일(현금 10~15%, 주식≤55%, 드리프트≤20%) 도 적용합니다. 1) 입력값 6개만 준비하세요 항목 설명 예시 현재 순자산 투자 가능 금액(부채 차감) ₩120,000,000 월 저축액 매월 추가 납입 ₩1,000,000 연 기대수익률 세전·총수익률(보수/중립/공격) 3% / 5% / 7% 연 총비용률 펀드보수·거래비용 등 0.4%p 연 물가상승률 실질가치 환산용 2.0% 기간(년) 목표까지 남은 시간 10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시트에 아래 표를 그대로 만들고 B열 에 값을 입력하세요. 연 수익률과 비용률은 순수익률 = 수익률 − 비용률 로 계산합니다. 셀 라벨 값/수식 A2 현재 순자산 A3 월 저축액 A4 연 기대수익률 A5 연 총비용률 A6 연 물가상승률 A7 기간(년) 아래는 수식(해당 셀에 그대로 붙여넣기) B8 연 순 수익률 =B4-B5 B9 월 순수익률 =(1+B8)^(1/12)-1 B10 월 수(전체) =12*B7 B11 미래가치(명목) =FV(B9,B10,-B3,-B2) ...

은행 예금만으론 부족하다 – 투자 없인 자산 증식 없다

이미지
"통장에 묻어두는 예금, 정말 우리 자산을 지켜줄까요?" 저도 한때 빨간 날에도 걱정 없이 예금만 믿었던 시절 이 있었습니다만,  지금 생각해보면 그건 ‘자산 성장’을 포기한 선택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왜 예금만으로는 자산이 늘지 않는지, 언제, 어떻게 투자를 병행해야  효율적인 자산 증식이 가능한지 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① 예금 금리 vs 인플레이션 현재 예금 금리는 대략 연 1–2% 수준입니다. 📉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3–4% → 실질 수익률 마이너스 💰 실제로는 돈이 가치가 줄어드는 셈입니다 ✅ 자산을 지키고 불리려면 예금만으론 부족합니다 ② 예금이 가진 안전성과 한계 🔐 장점: 원금 보장, 언제든 찾을 수 있는 유동성 ⚠️ 한계: 실제 수익 거의 없음, 자산 유지조차 어려움 💡 유용하게 쓰려면? 예금은 단기 비상금으로만 사용하세요 ③ 투자를 병행해야 자산이 성장합니다 📈 주식·ETF 등 기대수익률 5–8%로 인플레이션 대응 가능 🏠 부동산, 펀드 등의 다각화 자산 으로 안정성과 수익 추구 🔁 예금+투자 조합으로 안전+성장 모두 챙기기 마무리하며: 예금만으론 미래를 지킬 수 없습니다 예금은 안전하지만 수익성은 낮습니다.  자산을 지킬 뿐 아니라 키우려면 투자와 함께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금은 비상금 · 단기 저장 용도, 투자는 자산 증식의 주축으로 구조화하세요. 다음 글에서는 주식투자의 오해와 진실 을 풀며, 초보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착각과 올바른 시각 을 정리해드릴게요! 📌 다음 이야기 미리 보기: 주식투자 오해와 진실 이제 투자 필요성은 알았지만, 주식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정보가 여전히 많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주식이 도박? 개미만 손해? 등 대표적인 오해...

왜 저축만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을까?

이미지
“나는 꾸준히 저축하는데 왜 자산이 안 늘지?” 많은 사람들이 월급의 일부를 적금이나 예금으로 저축합니다. 그런데 몇 년이 지나도 통장 잔고는 크게 늘지 않고, 생활은 여전히 빠듯하다고 느껴지죠. 오늘은 바로 이 질문에 답해보겠습니다. ‘왜 저축만으로는 부자가 되기 어려운가?’ 그 이유는 생각보다 명확합니다. 1. 저축은 인플레이션을 이기기 어렵다 우리가 아무리 열심히 돈을 모아도, 물가가 오르면 그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10년 전 10만 원이면 넉넉히 외식을 했지만, 지금은 같은 돈으로 평범한 식사 한 끼가 될까 말까입니다. 평균 예금 금리: 2~3% 최근 물가 상승률: 3~5% 이상 결국 은행에 묶인 돈은 ‘이자가 붙는다’ 하더라도 실질 구매력은 떨어지고 있는 셈 입니다. 즉, 저축은 돈을 지켜주는 기능은 하지만, 키우는 기능은 거의 없습니다. 2. 저축은 한계 수익 모델이다 저축은 수익이 정해져 있는 구조입니다. 얼마를 넣고, 몇 % 금리를 적용받으면 받을 수 있는 수익도 뻔히 보이죠. 반면 재테크는 복리 효과 투자 수익률 자산가치 상승 같은 변수를 통해 잠재적으로 수익을 확장할 수 있는 구조 입니다. 예시로, 월 30만 원을 3% 적금으로 10년간 저축하면 약 4,100만 원. 하지만 같은 금액을 연 6% 수익률로 투자하면 10년 후 약 4,900만 원 이상으로 차이가 납니다. 수익률이 단 1~2% 차이만 나도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차이는 수백만 원, 수천만 원으로 벌어집니다. 3. 저축만으로는 자산을 구성하기 어렵다 부자들의 자산 구조를 보면 대부분 공통점이 있습니다. 현금보다 자산(투자, 부동산, 금융 상품)의 비중이 높다는 점입니다. 예금·적금: 유동성 확보용 (전체 자산의 10~20%) 나머지는 장기 투자 포트폴리오로 분산 운용 즉, 돈을 단순히 ‘쌓아두는 것’보다 ‘운용하는 능력’이 훨씬 중요 하다는 뜻입니다. 만약 내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