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주가순자산비율인 게시물 표시

PBR이란 무엇인가? – Price / Book Value 기준 이해

이미지
서론 투자를 하다 보면 “PBR 낮은 종목이 좋다”라는 말도 많이 듣습니다. 하지만 PBR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제대로 이해한 사람은 드물죠. 이번 글에서는 PBR의 개념, 계산법, 해석 방법, 장단점 등을 차근차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본론 1. PBR이란 무엇인가? PBR은 Price‑to‑Book Ratio 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가순자산비율 이라고 부릅니다. 한 마디로 현재 주가가 장부가치(순자산가치)에 비해 몇 배인지 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2. 계산법 주당순자산 (Book Value per Share, BPS) = (자산 − 부채) ÷ 발행주식 수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PBR 공식 = 주가 ÷ BPS 또는 시가총액 ÷ 순자산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예시: 순자산이 100억 원, 발행주식 수가 1,000만 주일 때 BPS는 10,000원. 현재 주가가 12,000원이라면 PBR은 1.2배. 3. PBR이 알려주는 것들 주가가 순자산 대비 어느 정도 프리미엄 또는 할인 반영됐는지 PBR < 1이면 보통 장부가치보다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음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기업 청산 시 자산 기반의 최소한의 가치 기준 역할 가능성 안정성 평가지표로 활용 가능 – PER이 이익 기반이라면 PBR은 자산 기반 4. 주의해야 할 점, 한계 및 오해 장부가치가 현실적 가치와 다를 수 있음 (감가상각, 무형자산, 시장가치 반영 미흡 등)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순자산이 음수이거나 부채가 많을 경우 PBR 해석이 무의미 자산이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