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투자매도인 게시물 표시

10 % 올랐을 때 팔아야 할까? – 목표 수익률 설정 기준

이미지
서론 “10 % 수익”이라는 숫자는 투자자에게 꽤 익숙한 기준이지만, 과연 이 정도 수익이 나면 매도해야 할지, 아니면 더 기다려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는 이유, 어떤 기준으로 수익 실현을 판단할지, 그리고 지나친 욕심으로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한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1. 목표 수익률(Profit Target)이란? 목표 수익률이란 투자 시작 시점 혹은 매수 직후 “이 정도 수익이 나면 매도하겠다”라고 미리 정해 두는 수익 실현 기준입니다. 이는 감정적 판단을 배제하고 규칙적으로 수익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2. 10 % 수익 기준을 무조건 적용해도 될까? 10 %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지만, 반드시 정답은 아닙니다.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목의 성장 기대치가 크고 아직 상승 여력이 남아 있는가? 시장 전체 혹은 업종이 강세인가, 아니면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는가? 내가 허용할 수 있는 리스크 수준과 현재 포지션 비중은 어떤가? 예컨대 《Investor’s Business Daily(IBD)》의 분석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주식이 +20 ~ 25 % 정도 상승한 뒤 조정이 오기 쉽다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3. 목표 수익률 설정 방법 3가지 고정 비율 방식 : 예컨대 +10 % 또는 +15 ~ 20 % 등 미리 정해 놓는 방식.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Risk‑Reward Ratio) 기반 : 예를 들어 허용 손실을 ‑5 %로 설정했다면, 수익 목표를 +15 %로 잡아 리스크 대비 3배 보상을 노리는 방식.  기술적/차트 기준 방식 : 저항선, 이전 고점, 피보나치 확장선 등을 기준으로 매도 목표를 정하는 방식. 4. 익절 시점과 조정 전략 목표 달성 시 일부 익절  + 남은 비중은 트레일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