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내재가치인 게시물 표시

테마주 속 진짜 알짜 기업 찾기 – 유행이 꺼져도 살아남는 기업

이미지
서론 테마주 투자는 자극적이고 단기적 흐름 중심으로 움직이기 마련이지만, 그 속에서도 유행이 지나가도 꺼지지 않을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기업들은 단지 테마에 편승한 것이 아니라, 기술력, 재무구조, 사업 지속성 등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유행이 꺼져도 살아남는 테마주 기업을 고르는 기준과 실제 적용법을 정리합니다. 본론 1. 핵심 기준 ① 기술력 및 경쟁력 테마 중심 기술 보유 여부: 테마의 근간이 되는 기술을 직접 개발하거나 보유한 기업이 유리합니다. 특허, 노하우, 진입 장벽: 단순 트렌드가 아닌 구조적 경쟁력을 가진 기업 R&D 지속성: 테마가 바뀌어도 기술 혁신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2. 핵심 기준 ② 재무 안정성 부채 비율은 너무 높지 않아야 함 영업 현금흐름이 플러스이며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순이익과 매출 흐름이 테마 없이도 일정 수준 유지되는지 3. 핵심 기준 ③ 사업 지속성 및 확장 가능성 테마가 바뀌어도 활용 가능한 사업 포트폴리오 보유 여부 연관 산업 진출 또는 사업 확장 가능성 경쟁 환경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 4. 사례 예시 (가상 / 일반적 유형) 2차전지 테마 기업 중에서, 배터리 핵심 소재 또는 장비까지 사업을 아우르는 기업 클라우드·AI 테마 기업 중에서,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이나 반도체 역량을 가진 기업 친환경 / 탄소 저감 테마 기업 중에서, 탄소 포집·재활용 사업 기반이 있는 기업 결론 테마주에도 본질이 있습니다. 단기 유행만 좇는 투자보다는 기술력, 재무 안정성, 사업 지속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알짜’ 기업을 선별하는 눈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기준이 있으면 고점에 물리는 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관심 있는 테마 하나에서 여러 기업을 골라 위 기준...

기업의 내재가치 간단히 계산하는 법 – DCF와 PER 실전 활용법

이미지
"이 기업, 지금 주가가 비싼 걸까? 아니면 싸게 거래되고 있는 걸까?" 저는 투자를 시작하고 가장 먼저 가졌던 질문이 바로 이거였어요.  PER이니 PBR이니 어렵게만 느껴졌지만, 결국은 하나의 목적, ‘이 기업의 진짜 가치는 얼마인가?’ 를 알기 위한 도구였죠. 오늘은 여러분께 가장 실전적이고 간단한 내재가치 계산법 2가지를 소개드릴게요.  바로 DCF (현금흐름 할인법) 과 PER 기반 평가법 입니다. 1. DCF (현금흐름 할인법) – 가장 기본이 되는 가치 평가 DCF는 앞으로 기업이 벌어들일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 해 보는 방식입니다.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논리는 간단해요. 미래에 벌 돈을 현재 가치로 계산 예: 1년 후 1,000원이 들어올 예정이라면, 지금 그 돈은 950원 정도의 가치 간단한 계산 예시: • 미래 5년간 예상 현금흐름: 100억 → 매년 5% 성장 • 할인율(현재 가치 환산 기준): 8% • 계산된 총 현재가치: 약 480억 • 발행 주식 수: 1천만 주 👉 주당 내재가치 = 48,000원 현재 주가가 40,000원이라면? 저평가된 상태 일 가능성이 크죠. 2. PER을 활용한 내재가치 계산 – 가장 많이 쓰이는 간단 공식 PER은 가장 많이 쓰이지만 동시에 오해도 많은 지표예요. EPS × 적정 PER = 적정 주가 라는 아주 간단한 공식이 핵심입니다. 예시: EPS(주당순이익): 3,000원 업종 평균 PER: 15배 → 적정 주가는 3,000원 × 15 = 45,000원 현재 주가가 38,000원이라면? 상승 여력이 있는 종목 이죠. 단, PER은 업종별 특성이 반영되므로 비교 기준을 잘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두 가지 방법을 함께 활용하는 팁 DCF는 보수적으로, PER은 현실적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