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성향, 자산에 맞는 전략 선택하기 — 결정 트리 & 모델 포트 가이드

전략은 한 가지가 정답이 아닙니다. 소득의 안정성 , 나의 성향 , 현재 자산 규모 에 따라 달라집니다. 오늘은 세 가지 축으로 나에게 맞는 전략을 고르는 결정 트리 와, 바로 적용 가능한 모델 포트 · 운용 규칙 을 정리합니다. 1) 3축 결정 트리(요약) 소득 : 안정/변동 여부와 비중 → 비상금·현금버퍼 규모 결정 성향 : 보수형/중립형/성장형 → 주식·채권·현금 목표 비중 자산 규모 : 총자산·월 납입액 → 종목 수·비용 한도·리밸런싱 주기 세 축을 통과하면, 목표 비중·밴드·노출 캡·주기 가 숫자로 고정됩니다. 2) 소득 구조별 원칙(현금·비상금) 소득 타입 권장 비상금 현금 버퍼(상시) 메모 안정(급여형) 3~6개월 생활비 10~12% 자동이체로 적립, 투자 전용 금지 부분 변동(성과/프리랜스) 6~9개월 12~15% 불규칙 월엔 납입 축소 고변동(자영업/프로젝트) 9~12개월 15~20% 리스크 스위치(보수 모드) 적극 활용 3) 성향별 모델 포트(목표 비중) 모델 국내주식 해외주식 채권 현금 보수형 15% 15% 50% 20% 중립형 25% 25% 30% 20% 성장형 30% 35% 20% 15% 공통 가드레일 : 주식 합산 ≤ 55% , 섹터 상한 ≤ 20% , 고상관(0.8↑) 쌍 합산 ≤ 25% . 4) 자산 규모별 운용 가이드 총자산(투자자금) 권장 종목수 비용 한도 리밸런싱 주기 ≤ 3천만 원 ETF 중심 4~8 연 0.6%p 이하 월 1회(밴드 ±20%) 3천만~1억 ETF+우량 8~15 연 0.6%p 이하 월 1회 + 분기 리뷰 ≥ 1억 ETF+섹터 12~20 연 0.5%p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