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변동성 타깃팅인 게시물 표시

자동화로 분산투자를 완성하는 법 — 상관·변동성·리스크 균형 루틴

이미지
분산투자의 핵심은 “종목을 더 사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을 섞고 이를 규칙 으로 유지하는 일입니다. 이 글은 40~60대 소액·안전 투자자를 위해 목표비중 → 상관·변동성 관리 → 자동 리밸런싱 을 단계별로 고정하는 실전 루틴을 제시합니다. 1) 원칙과 목표(숫자로 고정) 목표 수익/위험 : 시장 평균 수익에 근접, 연 변동성 8~12% 구간 유지. 리스크 단위 : 1R = 계좌 0.5~1% . 어떤 거래도 손실 1R 초과 금지. 현금 버퍼 : 계좌 10~15% 유지(급락·생활비 변동 대응). 자동화 원칙 : 요일·시간 고정 리밸런싱 + 밴드(임계치) 병행. 브로커·수수료·세율은 기관 공지에 따라 변동 가능. 본문은 원칙·계산법 만 제시합니다. 2) 분산 축과 목표 비중(예시) 분산 축 자산/지역 목표 비중 밴드(상대) 자산군 국내 주식 인덱스 25% ±20% 자산군 해외(글로벌) 주식 인덱스 25% ±20% 자산군 국내 중장기 채권 인덱스 30% ±15% 현금/단기 현금·단기채 10% ±10% 위험완충 대체/리스크 완충(선택) 10% ±20% 위 비중은 안정 우선 예시입니다. 해외자산 비중, 대체자산 사용 여부는 개인 상황에 맞춰 조정하세요. 3) 상관·노출 한도(과밀 방지 장치) 상관 한도 : 상관계수 0.8 이상인 자산쌍의 합산 비중 ≤ 25% . 섹터 한도 : 특정 섹터 합산 ≤ 20% (주식 비중 내). 자산군 노출 : 주식 합산 ≤ 55% , 채권+현금 ≥ 45% . 현금 쿠션 : 변동성↑ 구간에서 현금 +5%p 임시 증액. 핵심 : “상관이 높은 것들끼리 비중이 몰리지 않게” 하는 캡(ca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