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비합리적이다 – 행동경제학이 말하는 투자자
서론 전통적인 금융이론은 투자자를 ‘정보에 기반해 합리적 결정을 내리는 존재’로 가정해 왔습니다. 하지만 Daniel Kahneman 과 Amos Tversky 등의 연구로 출발한 행동경제학 분야는 투자자가 수많은 인지 · 감정적 편향에 영향을 받는 비합리적 존재 임을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는 왜 투자자가 완전히 합리적일 수 없는지, 그리고 그럼에도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본론 1. 투자자를 둘러싼 비합리성의 증거 행동경제학에 따르면, 투자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최근 정보나 경험에 과잉 반응하는 경향( Recency Bias ) 손실을 회피하려는 강한 심리( Loss Aversion ) 군중에 따르거나 유행을 쫓는 습관( Herd Behavior ) 이러한 인지·감정 패턴은 투자 판단과 실행에 지속적 영향을 미칩니다. 2. 왜 우리는 비합리적일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보 처리의 한계: 모든 정보를 완벽히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빠른 판단을 유도하는 ‘휴리스틱(heuristic)’에 의존하게 됩니다. 감정의 개입: 두려움, 욕망, 후회 등이 판단을 흐리게 하고, 이는 투자에 있어 매우 큰 변수입니다. 사회적 영향: 뉴스, 주변 투자자 행동, 미디어 등이 우리의 신념과 행동을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3.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비합리적 경향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다음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투자 원칙 수립: 나만의 투자 루틴, 자산배분 기준, 손절·익절 규칙 등을 미리 정해두면 감정 개입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록과 복기 습관화: 판단한 이유, 당시 감정 상태, 실행 결과를 기록하면 나중에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감정 점검 루틴 만들기: 투자 전에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