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이드허슬인 게시물 표시

부수입 전략, 다음 단계 목표 설정하는 방법 — 월50→100로 도약하는 실전 로드맵

이미지
"부수입이 어느 순간부터 더 오르지 않을 때,  가장 답답한 건 ‘무엇을 더 해야 할지’가 아니라 무엇을 그만둬야 할지 일 때가 많죠." "주말마다 콘텐츠를 만들고, 퇴근 후 소소한 판매도 해보지만 숫자는 제자리…  독자 문의는 늘었는데 정작 수익은 늘지 않는 그 묘한 간극." "이번 글에서는 부수입의 다음 단계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 을 구조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가상의 사례를 통해 수익모델을 재정비하고, 12주 실행계획까지 설계해 볼게요." 왜 ‘다음 단계’에서 막힐까? 부수입이 정체되는 이유는 대개 목표가 없어서가 아니라, 목표의 구조 가 흐릿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네 가지가 특히 자주 나타나는 병목이에요. 모호한 단위 : ‘더 벌자’는 의지는 있지만, 월·주·건수·전환율 같은 단위가 없어요. 채널-상품 불일치 : 판매 단가는 높은데 유입 채널은 체류 중심이거나, 반대로 회전형 상품인데 검색 유입이 약한 경우. 자원 배분 오류 : 시간·체력·예산의 한계를 고려하지 않은 할 일 목록. 데이터 빈곤 : 클릭·문의·구매로 이어지는 경로가 측정되지 않아, 무엇이 효과적인지 모르는 상태. 이 네 가지를 교정하면, 같은 노력으로도 수익 곡선이 다시 기울기를 갖습니다. Step 1. 수익모델 맵: 지금 가진 것으로 가능한 모든 길을 펼치기 수익모델 맵 은 ‘내 역량 × 제공 형태 × 채널’의 조합을 한 화면에 펼쳐 보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스프레드시트로 시작해도 충분합니다. 역량 인벤토리 : 글쓰기, 디자인, 번역, 코칭, 리서치 등 사람이 나에게 돈을 지불할 이유 를 나열합니다. 제공 형태 : 디지털 상품(전자책, 템플릿), 서비스(코칭/대행), 구독(뉴스레터), 파생 수익(제휴/광고). 채널 : 검색형(블로그/유튜브), 커뮤니티형(인스타/디스코드), 마켓형(쿠팡/크몽/클래스), ...

부수입 관리하는 매주 10분 루틴 만들기

이미지
부수입은 많아질수록 관리 가 성과를 좌우합니다.  바빠도 매주 10분 만 투자하면 누수 없이 성장을 이어갈 수 있어요.  이번 글은 제가 실제로 쓰는 주간 점검 루틴을 초보자도 바로 적용하도록 압축했습니다. 1. 주간 10분 루틴 – 체크 항목 6가지 매출 요약 : 전 주 대비 증감(%) 확인 트래픽 원천 : 상위 유입 채널 3개 전환 지점 : 가장 매출이 잘 나온 콘텐츠/상품 누수 포인트 : 장바구니 이탈/이탈 구간 실험 계획 : 썸네일, 제목, 가격, 번들 중 1가지 자동화 상태 : 예약 발행, 링크, 폼, 송장 점검 2. 대시보드 표(복붙해서 쓰세요) 항목 이번 주 지난 주 증감 총 매출(원) 상위 유입 채널(3) — 전환 기여 콘텐츠/상품 — 3. 파이프라인별 1분 점검 포인트 전자책 : 상위 검색유입 키워드 유지? 리뷰 응답 완료? 온라인 강의 : 가장 수강률 낮은 강의 1개 개선 유튜브 : 평균시청지속시간 하락 영상 1개 썸네일 교체 커머스 : 베스트 3 SKU 재고/후기/문의 응답 속도 중고거래 : 계절 상품 미리 등록, 가격 업데이트 4. 자동화 스위치 – 끄고 켜는 체크 콘텐츠 예약 발행 확인(블로그/유튜브/뉴스레터) 링크 유효성 (제휴·결제·리드 폼) 점검 송장/재고 자동 연동 오류 여부 확인 마무리 주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