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익률인 게시물 표시

성장률과 수익률, 어느 쪽이 더 중요한가? – EPS, ROE 중심의 판단법

이미지
서론 기업을 평가할 때 흔히 “성장률이 높은 기업이 좋다” 또는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안정적이다”라는 주장이 엇갈립니다. 사실 둘 다 중요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성장률을 우선해야 할지, 언제 수익률을 중시해야 할지 판단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EPS(주당순이익)** 와 **ROE(자기자본이익률)** 를 중심으로 성장률과 수익률을 비교하고, 투자 관점에서의 해석법을 정리합니다. 본론 1. EPS와 ROE의 기본 개념 EPS (Earnings Per Share):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 — 한 주당 벌어들인 이익 ROE (Return on Equity): 순이익 ÷ 자기자본 — 주주가 낸 자본 대비 이익을 얼마나 잘 냈는가 EPS는 절대 수익 크기를 보여주고, ROE는 자본 대비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2. 성장률과 수익률의 균형 기준 높은 EPS 성장률이 지속 가능한 구조인지 검토 (일회성 이익 아님) ROE가 너무 낮으면 성장률이 높더라도 자본 투입 대비 수익성이 낮을 수 있음 둘 다 높으면 가장 이상적인 상태 — ‘성장 + 효율’의 조합 성장 산업 또는 초기 단계 기업은 성장률을 더 중시, 안정 산업은 수익률 우선 전략 가능 3. 어느 쪽을 더 중시할지 가이드라인 산업 특성 고려: 고성장 산업은 성장률 중심, 안정 산업은 수익률 중심 기업 성장 단계: 초기 기업은 성장률 기준 우선, 성숙 기업은 수익률 기준 강화 리스크 허용도: 보수적 투자자라면 수익률 안정성 쪽 선택 가능성 높음 전략 혼합: 전략 포트폴리오 내 성장주 + 수익성주 혼합 배치 4. 실전 해석 팁 EPS 증가가 주당 수 증가나 지분 배당 등 기계적 요인 때문 아닌지 체크 ROE가 너무 높으면 레버리지 과다 사용 가능성 점검 과거 ...

수익률, 배당금, 시가총액… 투자 성과 용어 완벽 정리

이미지
"수익률 계산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저도 처음에는 ‘배당 수익률이 뭔지’, ‘내 수익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이 막막했어요. 이번 글에서는 투자 성과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용어 를 하나씩 쉽고 명확하게 정리 해드릴게요! ① 투자 성과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 수익률(Return) : 투자금 대비 수익의 비율. [(현재가 – 매수가) ÷ 매수가] × 100 총 수익률 : 배당금 등 모든 수익을 포함한 수익률 연환산 수익률 : 보유 기간을 1년으로 환산해 계산한 수익률 수익률은 단순한 가격 차이만이 아니라, 배당 등까지 포함해서 봐야 정확합니다 . ② 배당 관련 용어 배당금(Dividend) : 기업이 이익을 나눠 주주에게 지급하는 금액 배당수익률 : 주당 배당금 ÷ 주가 × 100 예: 주가 5만 원, 배당금 2,000원이면 배당수익률은 4% 시가배당률 : 주가 기준 배당 수익률 배당락 :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사라진 날 배당 수익도 실질적인 투자 성과 입니다. 배당 전략을 세우려면 위 용어들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 ③ 그 외 성과 관련 지표 시가총액(Market Cap) : 주식 수 × 현재 주가. 기업 규모를 가늠하는 기준이 됩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 : 기업이 자기 자본 대비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ROA(총자산이익률) : 총 자산 기준 수익률 분기·연간 실적 : 기업이 3개월·1년 동안 낸 수익과 비용 등 이 지표들을 활용하면 성장 가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습니다 . 💡 마무리 요약 ✔ 수익률은 가격차 + 배당 포함해 계산 ✔ 배당수익률로 기업의 ‘현금 흐름 기여도’를 알 수 있음 ✔ 시가총액, RO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