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표로 진짜 좋은 기업 찾는 법 – 본업의 생존력을 확인하자
 
   “흑자 기업인데 왜 부도가 났을까요?”    회계상 흑자인 기업도, 현금이 없는 경우엔 숨이 막힐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숫자만 보는 재무제표 분석의 함정이죠.    이번 글에서는 현금흐름표 를 통해 ‘진짜 돈이 흐르는 구조’를 이해하고, 본업의 체력이 강한 우량 기업 을 고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현금흐름표란 무엇인가?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현금 유입과 유출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단순 수익보다 현금이 실제로 들어오고 나가는지 를 확인할 수 있어요.         영업활동현금흐름 (CFO) : 본업에서 실제로 돈을 벌어들이는 구조      투자활동현금흐름 (CFI) : 미래를 위한 설비 투자나 자산 매입      재무활동현금흐름 (CFF) : 차입, 자본조달, 배당 등 자금 구조 변화         2. 진짜 실력은 CFO에서 나타난다     흑자지만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라면, 기업은 외상·재고·부채에 의존해 운영 중인 셈입니다.         ✅ CFO 플러스 유지: 본업으로 벌어 현금을 창출하는 구조      ⚠ CFO 마이너스 지속: 수익은 있지만 비현금성 비용이나 자산 증가가 문제인 경우      📌 투자자 기준: 최소 3년 기준으로 연속 CFO 플러스  기업 선호         3. 투자활동현금흐름 – 영리한 기업은 여기에 주목한다     설비 투자나 인수 등은 CFI가 마이너스인데,        본업이 튼튼하다면 오히려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이 투자가  지속 가능한 CFO 기반 위에서 이뤄지는지 입니다.      4. 실제 데이터로 보는 우량 기업 A사     A사의 최근 3년 현금흐름을 보겠습니다.                          연도          영업활동(CFO)          투자활동(CFI)          재무활동(CFF)                                  2022          +1,200억          -8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