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장기투자 습관인 게시물 표시

성공한 장기투자자들이 매일 하는 습관 5가지

이미지
“장기투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라는 말, 들어보셨죠? 하지만 실제로 성공한 장기투자자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매일 같은 루틴을 반복하며 ‘심리’와 ‘판단력’을 꾸준히 관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수년 간 장기투자를 실천하면서 체득한, 그리고 워렌 버핏, 피터 린치 같은 전설적인 투자자들의 인터뷰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5가지 일상 습관’ 을 소개해드릴게요. ① 매일 계좌를 확인하지 않는다 처음엔 매일 주식앱을 열고 수익률을 확인했어요. 그런데 이상하게 수익이 오르락내리락할수록 제 감정도 출렁이더라고요. 그러다 이런 원칙을 세웠습니다. 👉 “계좌는 월 1회만 확인한다.” 그 이후로 저는 훨씬 차분해졌고, 투자 성과도 안정적이었어요. ② 뉴스보다 기업 리포트를 먼저 본다 뉴스는 빠르지만, 정답을 주진 않아요. 오히려 감정적인 판단을 유도하죠. 그래서 저는 매주 1회 기업 IR 자료나 실적 리포트 를 먼저 체크하고, 그 다음에 뉴스를 읽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그럼 뉴스가 훨씬 객관적으로 보입니다. ③ 하루 15분 독서 또는 리마인드 노트 읽기 워렌 버핏도 매일 80%는 책을 읽는다고 했죠. 저도 실천합니다. 하지만 너무 어렵게 시작하지 마세요. 📘 『현명한 투자자』에서 1페이지 📝 작년에 쓴 나의 투자 원칙 노트 다시 읽기 이 15분이 ‘나의 투자 기준’을 지키는 힘이 되어줍니다. ④ 시장 하락에 ‘무반응’ 훈련하기 하락장이 오면 누구나 불안해집니다. 하지만 성공한 장기투자자는 하락장에서 매수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힘을 가지고 있어요. 저는 실제로 하락장 알림이 오면 휴대폰을 잠시 끕니다. 대신, 전날 작성해둔 “장기투자 체크리스트”를 꺼내 읽습니다. ⑤ 자동이체와 자동투자 시스템 설정 매달 25일엔 ETF 계좌로 자동이체가 설...

1년에 한 번, 포트폴리오 점검표 작성하기

이미지
“포트폴리오는 잘 짰는데, 시간이 지나도 그대로 두어도 될까요?”  바로 이 질문에 답하는 것이 오늘의 주제입니다. 연 1회 ‘점검표’를 통해 내 자산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습관은 장기투자의 필수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전에서 바로 쓸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점검표 를 제공하고, 이를 어떻게 작성하고 활용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① 점검표가 필요한 이유 ✔ 시간이 지나며 자산 비중이 달라질 수 있음 ✔ 리스크·성과·목표 부합 여부를 체크해야 함 ✔ 단기 이슈에 휘둘리지 않도록 방향성을 정리할 수 있음 ② 연간 포트폴리오 점검표 양식 예시 점검표는 단순하고 명확해야 실천할 수 있습니다. 항목 점검내용 2025년 기준 현황 코멘트 자산 배분 주식 / 채권 / 현금 / 대체자산 비중 70 / 20 / 5 / 5 주식 비중 조정 필요 연간 수익률 전년 대비 총 자산 수익률 +7.2% 목표(6%) 초과 달성 목표 달성도 1년 전 세운 목표와 실제 실행률 80% 달성 ETF 투자 미이행 항목 체크 ③ 점검 루틴 + 실행 루틴 연결하기 점검표를 작성했다면, 이제 다음 단계로 연결해야 합니다. ✔ 성과가 낮은 항목 → 리밸런싱, 전략 변경 ✔ 목표 미달성 항목 → 실천계획 보완, 루틴 설정 ✔ 잘한 항목 → 다음 해에도 유지 전략 수립 📝 마무리하며 한 해를 돌아보고, 다음 해를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