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청산 가치인 게시물 표시

BPS(주당순자산가치)로 기업 자산 보기 – 청산 시 받을 수 있는 돈

이미지
서론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장부 자산 가치를 주주 관점에서 풀이해주는 지표입니다. 만약 회사가 청산된다면 한 주당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BPS의 정의, 계산법, 해석, 유의점과 활용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 본론 1. BPS란 무엇인가? BPS는 기업의 순자산(자산 – 부채)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즉, 만약 모든 부채를 정리하고 남은 자산을 주주에게 배분한다면 주당 얼마가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장부적 가치죠. 2. 계산법 공식: BPS = 순자산 ÷ 발행 주식 수 예시: 순자산이 500억 원이고 발행 주식 수가 1,000만 주라면 → BPS = 500억 ÷ 1,000만 = 5,000원 3. BPS 해석 기준 및 의미 BPS가 주가보다 높으면 ‘장부가치 대비 저평가’ 가능성 하지만 장부가치가 현실 자산가치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무형 자산, 브랜드 가치, 특허 등은 장부가치에 잘 반영되지 않는 경우 많음 청산가치로서의 의미를 중시하는 투자자들이 BPS를 중요시함 4. 유의점 / 한계 장부가치와 시장가치의 괴리 가능성 부채, 유동성, 감가상각, 회계 처리 방식에 따른 왜곡 가능성 순자산이 음수인 경우 BPS가 의미를 잃음 비교 대상이 다르면 해석이 무의미 — 업종 평균 또는 동종기업 대비 사용하는 것이 좋음 결론 BPS는 기업이 가진 자산을 기준으로 한 안전 마진을 제공하는 지표입니다. 다만, 그 자체만으로 투자 판단의 전부가 될 수는 없습니다. EPS, 수익성, 자산 질 등과 결합해서 해석해야 보다 균형 잡힌 판단이 가능합니다. 관심 있는 기업의 BPS를 확인 해 보고, 현재 주가와 비교해 보세요.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 감을 잡는 좋은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