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투자 성과인 게시물 표시

성과가 부족하다면 전략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 — 원인분석·실험·리스크 재설정

이미지
“수익이 시원치 않다… 뭘 바꿔야 하지?” 저도 예전에 그랬습니다. 급하게 규칙을 여러 개 손보다가 더 나쁜 결과 를 만든 적이 있죠. 그래서 만든 루틴이 있습니다. 원인 → 조정 레버 → 작은 실험 → 유지/폐기 의 4단계입니다. 1) 기준선부터: KPI가 목표에 미달했는가? 한 달에 10분, 분기에 30분만 아래 KPI를 확인하세요(롤링 12개월 기준). 지표 목표 미달 기준(조정 필요) CAGR ≥ 4~6% < 3% 변동성(연) 8~12% > 12% MDD ≥ -12% 이내 <= -15% 비용률 ≤ 0.6%p/년 > 0.8%p 회전율(월) ≤ 100% > 120% 원칙: KPI 2개 이상이 미달이면, ‘조정 사이클’을 실행합니다. 2) 원인 분석: 5가지로 좁혀라 원인 증상 확인 방법 즉시 액션 시장(베타) 지수 하락과 동조, 비중 과다 벤치마크-포트 월별 상관↑ 주식합산 -3%p, 채권/현금 +3%p(1개월) 선정(알파) 같은 시장 대비 수익률 낮음 TWR < 벤치마크, 승률↓ 섹터 상한 20%→15%, 고상관 쌍 감축 비용/체결 회전율 과다·체결지연 비용률>0.8%p, 미체결률↑ 밴드 +5%p, 지정가 분할, 주기 완화 규모(노출) 특정 자산/섹터 쏠림 주식합산>55%, 섹터>20% 노출 캡 준수: ...

내가 투자로 실제 벌어들인 수익률은?

이미지
“올해 500만 원을 더 넣었는데, 자산이 700만 원 늘었으니 수익률은 +40%?” — 저도 한때 이렇게 계산했습니다. 하지만 입출금(현금흐름)·배당·수수료·세금 을 반영하면 숫자는 달라집니다. 오늘은 제가 실제로 쓰는 XIRR(돈가중) 과 TWR(시간가중) 방법으로 ‘진짜’ 수익률 을 계산하는 과정을 공유합니다. 1) 왜 ‘느낌’과 ‘실제’ 수익률이 다를까? 추가 납입 착시 : 적립을 늘렸는데 자산이 늘어난 걸 수익으로 오해 배당/이자 누락 : 현금으로 빠져나간 분배금을 수익에 미포함 세금·수수료 미반영 : 체결 때마다 빠지는 비용을 무시 환율 : 외화 자산을 원화로 환산하지 않음 평가시점 불일치 : 월말/중간 값 섞여 비교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현금흐름은 따로, 성과는 따로 계산합니다. 2) 어떤 수익률을 써야 하나요? (XIRR vs TWR) 지표 의미 언제 쓰나 XIRR (돈가중, IRR) 입출금 타이밍·금액의 영향 포함. 내 돈의 실제 수익률 가계 투자/적립식 평가, 목표 달성 점검 TWR (시간가중) 현금흐름 영향 제거. 전략 자체의 실력 전략 비교, 펀드/포트폴리오 성과평가 정리 : “내가 얼마나 잘 불렸나?” → XIRR . “전략이 좋은가?” → TWR . 3) 데이터 표준화 (구글 시트 컬럼) 시트명: '계정원장' 컬럼: 날짜 | 현금흐름(원) | 계좌평가금액(원) | 누적입금 | 누적출금 | 수수료/세금 | 메모 규칙: - 입금(+)·출금(-)·배당(+)·세금/수수료(-)을 '현금흐름'에 반영 - 평가금액은 장마감 기준(가능하면 월...

수익률, 배당금, 시가총액… 투자 성과 용어 완벽 정리

이미지
"수익률 계산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저도 처음에는 ‘배당 수익률이 뭔지’, ‘내 수익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이 막막했어요. 이번 글에서는 투자 성과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용어 를 하나씩 쉽고 명확하게 정리 해드릴게요! ① 투자 성과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 수익률(Return) : 투자금 대비 수익의 비율. [(현재가 – 매수가) ÷ 매수가] × 100 총 수익률 : 배당금 등 모든 수익을 포함한 수익률 연환산 수익률 : 보유 기간을 1년으로 환산해 계산한 수익률 수익률은 단순한 가격 차이만이 아니라, 배당 등까지 포함해서 봐야 정확합니다 . ② 배당 관련 용어 배당금(Dividend) : 기업이 이익을 나눠 주주에게 지급하는 금액 배당수익률 : 주당 배당금 ÷ 주가 × 100 예: 주가 5만 원, 배당금 2,000원이면 배당수익률은 4% 시가배당률 : 주가 기준 배당 수익률 배당락 :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사라진 날 배당 수익도 실질적인 투자 성과 입니다. 배당 전략을 세우려면 위 용어들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 ③ 그 외 성과 관련 지표 시가총액(Market Cap) : 주식 수 × 현재 주가. 기업 규모를 가늠하는 기준이 됩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 : 기업이 자기 자본 대비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ROA(총자산이익률) : 총 자산 기준 수익률 분기·연간 실적 : 기업이 3개월·1년 동안 낸 수익과 비용 등 이 지표들을 활용하면 성장 가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습니다 . 💡 마무리 요약 ✔ 수익률은 가격차 + 배당 포함해 계산 ✔ 배당수익률로 기업의 ‘현금 흐름 기여도’를 알 수 있음 ✔ 시가총액, RO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