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성과가 부족하다면 전략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 — 원인분석·실험·리스크 재설정

“수익이 시원치 않다… 뭘 바꿔야 하지?”

저도 예전에 그랬습니다. 급하게 규칙을 여러 개 손보다가 더 나쁜 결과를 만든 적이 있죠. 그래서 만든 루틴이 있습니다. 원인 → 조정 레버 → 작은 실험 → 유지/폐기의 4단계입니다.


1) 기준선부터: KPI가 목표에 미달했는가?

한 달에 10분, 분기에 30분만 아래 KPI를 확인하세요(롤링 12개월 기준).

지표 목표 미달 기준(조정 필요)
CAGR≥ 4~6%< 3%
변동성(연)8~12%> 12%
MDD≥ -12% 이내<= -15%
비용률≤ 0.6%p/년> 0.8%p
회전율(월)≤ 100%> 120%

원칙: KPI 2개 이상이 미달이면, ‘조정 사이클’을 실행합니다.


2) 원인 분석: 5가지로 좁혀라

원인 증상 확인 방법 즉시 액션
시장(베타) 지수 하락과 동조, 비중 과다 벤치마크-포트 월별 상관↑ 주식합산 -3%p, 채권/현금 +3%p(1개월)
선정(알파) 같은 시장 대비 수익률 낮음 TWR < 벤치마크, 승률↓ 섹터 상한 20%→15%, 고상관 쌍 감축
비용/체결 회전율 과다·체결지연 비용률>0.8%p, 미체결률↑ 밴드 +5%p, 지정가 분할, 주기 완화
규모(노출) 특정 자산/섹터 쏠림 주식합산>55%, 섹터>20% 노출 캡 준수: 감축만, 증액 금지
타이밍(주기) 편차 누적 후 뒤늦은 조정 알림 과다/과소 월1회→격주, 혹은 밴드 조정


3) 조정 레버 4가지(숫자로 고정)

  • 노출 캡: 주식합산 ≤ 55%, 섹터 ≤ 20%, 상관쌍(0.8↑) ≤ 25%
  • 밴드: 기본 ±20% → 알림 과다 시 ±25%, 과소 시 ±15%
  • 주기: 월1회(기본) ↔ 주2회(드리프트 누적 시)
  • 룰 A/B: 진입/청산 중 하나만 바꿔 8~12주 테스트

주의: 한 번에 하나만 바꿉니다. 그래야 원인을 특정할 수 있습니다.


4) A/B 테스트 절차(8주)

  1. 가설: 예) 손절 -1.5R→-1.0R로 줄이면 MDD↓
  2. 격리: 다른 규칙·비중·주기 동결
  3. 지표: TWR·MDD·회전율·비용률
  4. 중단선: MDD ≤ -15% 또는 비용률 > 1.0%p 즉시 종료
  5. 판정: TWR↑ & MDD↓ & 비용률 ≤ 0.6%p면 채택

검증 기간 동안 감정적 개입 금지. 알림 텍스트는 “근거수치→권장액션” 형식으로 남깁니다.


5) 의사결정 매트릭스(예시)

조건 조치
20일 변동성 > 12%주식 -3%p, 채권/현금 +3%p (1주 유지)
누적손익 ≤ -3R신규매수 중단, 현금 +5%p
회전율 > 120%/월밴드 +5%p, 지정가 분할
주식합산 > 55% 또는 섹터>20%증액 금지(감축만), 리밸런싱 우선


6) 기록 양식(5분 저널)

[날짜][KPI 상태: CAGR/Vol/MDD/Cost/Turn]
[원인 판단: 시장/선정/비용/규모/타이밍]
[조치: 노출/밴드/주기/룰A/B, 수치]
[중단선/검토일: ex. -15%·8주]
[결과·교훈]


마무리

전략을 바꿀 때 가장 위험한 건 동시에 여러 가지를 고치는 것입니다. 오늘은 KPI 기준선을 세우고, 원인을 5가지로 좁힌 뒤, 하나의 레버만 바꿔 8주 실험해 보세요. 데이터가 판단을 도와줍니다.

※ 교육용 정보이며 특정 상품 권유가 아닙니다. 수수료·세율·앱 기능은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손실 구간에서 흔히 나오는 추격매수·공포매도를 막는 행동 규칙을 제시합니다.

  • ⏱️ 쿨다운 타이머: -1R 발생 시 24시간 신규거래 금지
  • 🧱 회복 순서: 손절→현금 버퍼 회복→노출 축소→룰 재점검
  • 🔔 알림 문구 표준화: [등급][근거수치][권장 액션]
  • 📓 감정 저널: “감정·생각·행동·결과” 4칸 기록

감정은 막기 어렵지만, 행동은 설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