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리밸런싱인 게시물 표시

12주 재테크 여정, 한 권의 전략서로 정리하자 — 목차·캔버스·증거·PDF 자동화

이미지
12주 동안 흩어져 있던 목표, 지표, 로그, 차트를 한 권의 전략서 로 모아두면 다음 분기부터는 “다시 세팅”이 아니라 복제 만 하면 됩니다. 오늘은 ①목차/레이아웃 ②클라우드 폴더 구조 ③필수 수록물 체크리스트 ④구글 시트/차트를 자동으로 모아 PDF 전략서를 만드는 앱스 스크립트 까지, 실전 작업 순서로 정리합니다. 1) 전략서 목차(권장 템플릿) 장 제목 핵심 내용 출처 1장 전략 캔버스(한 장) 목표·지표·가드레일·레버 Canvas 시트 2장 루틴 운영 데일리 2지표·금 21:00 결정 3개 Dashboard/Log 3장 포트폴리오 맵 목표/밴드·드리프트·리밸런싱 룰 Allocation 시트 4장 성과 분석 WoW/언더워터/샤프 근사 Weekly/KPI 시트 5장 사례 & 분기점 원인→조치→결과(Δ) 로그 Events/Notes 6장 자동화 번들 이체·알림·PDF·스냅샷 Apps Script 부록 체크리스트 월·분기·위기 대응 한 장 One-Pager 권장 분량: 본문 20~30쪽 + 부록 체크리스트 3~5쪽(프린트 1~2회로 끝). 2) 폴더 구조 & 파일 네이밍 드라이브 루트 : PF_12Week_Playbook_YYYYQ 폴더 예시 파일명 설명 01_Canvas Canvas_YYYYQ.pdf 전략 한 장 02_Dashboard Dash_Snapshot_YYYYMM.pdf 월말 보고 03_Weekly Weekly_YYYYMMDD.pdf 주간 요약 04_Portfolio Allocation_Maps.pdf 목표/밴드·리밸런싱 ...

분기별 자산 재구성 로드맵 — 데이터 동결·의사결정 매트릭스·집행 순서·자동화

이미지
분기 점검의 목적은 과감한 변화 가 아니라 정확한 재정렬 입니다. 오늘은 분기말에 데이터를 동결 하고, 객관적인 의사결정 매트릭스 로 증액/유지/축소를 정한 뒤, 자금 이동 순서 와 수수료·세금 을 점검하는 한 장 로드맵 을 만듭니다. (가드레일: 현금 10~15%, 주식 합산 ≤ 55%, 드리프트 |편차| ≤ 20%, 1회 이동 ≤ 3%p) 1) 데이터 동결(스냅샷 → 비교) 단계 액션 체크 ① 스냅샷 대시보드 시트 사본 생성(파일명: Snapshot_YYYYQ ) 값만 붙여넣기 ② 지표 고정 수익률·드로다운·변동성·드리프트MAX·PMT% 기간 동일성 유지 ③ 비교표 이전 분기 vs 이번 분기 Δ(증감) 열 추가 2) 분기 비교 핵심 지표(간단·명확) 지표 수식(예시) 목표/임계 분기 수익률 =(끝잔고-시작잔고-순유입)/시작잔고 양(+) 선호 최대 드로다운 =MIN(현재잔고/누적고점-1) ≥ -15% 이하로 방지 변동성(연환산) =STDEV.P(주간수익률)*SQRT(52) 낮을수록 안정 드리프트MAX =MAX(ABS(현-목)/목) ≤ 0.20 PMT 달성률 =실제입금/필요PMT ≥ 1.00 3) 의사결정 매트릭스(증액/유지/축소) 원칙 : 이탈 자산만 조정, 1회 이동 ≤ 3%p , 세후·수수료 고려. 순서 : 현금 버퍼 → 드리프트 교정 → 비용 낮추기 → PMT 조정. 조건 주식 채권 현금 메모/룰 수익 ↑ AND 변동성 ↓ or 동급 증액 +1~3%p 유지 유지 총...

3개월 목표를 달성하는 실행 플래너 만들기 — 한 장 캔버스·주간 스프린트·자동 알림

이미지
계획은 길어도 좋지만, 실행 은 짧아야 꾸준합니다. 오늘은 12주(3개월) 동안 목표를 실제로 완주 하게 만드는 한 장 실행 플래너 를 만듭니다. 핵심은 네 가지: 목표·지표 를 명확히, 주간 스프린트 로 쪼개기, 결정 3개 로 집행, 자동 알림 으로 흔들림 방지. 지금부터 바로 세팅해 보세요. 1) 한 장 실행 캔버스(프린트/모바일 겸용) 섹션 항목 기입 예시/가이드 목표(12주) 재무 목표 비상자금 6개월치 달성 / 순자산 +___원 핵심 지표 PMT 달성률 ≥100%, 진행률 오차 ≤5%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 합산 ≤55% · 드리프트 |편차| ≤20% 전략 레버 Primary(택1) PMT / 기간 / 비용 / 위험 中 하나만 수정 Secondary 분기 리뷰까지 비활성 스프린트 주간 포커스 W1~2 PMT, W3~4 현금, W5~6 비용, W7~8 리밸런싱, W9~10 대시보드, W11~12 리허설 결정 3개 매주 금 21:00, 유지/축소/증액 각 1건 증거 PDF/로그/쿨다운 캡처(정체감 저장) 리스크 붕괴 신호 PMT<0.8 · 현금<10% · 드리프트>20% · 금 21:00 누락 자동화 알림/보고 평일 07:30 데일리, 금 21:00 결정, 월말 PDF 2) 레이아웃(한 눈에 보이게) [상단] 목표·지표·가드레일 | PMT%·진행률오차 미니 카드 [중단] W1~W12 주간 스프린트 칸반(Backlog → Doing → Done) [하단] 결정 3개 로그(Keep/Cut/Add) | 리스크 로그 | 월말 PDF 체크 3) 구글 시트 구조(복붙용 컬럼) ...

돈과 건강한 관계를 맺는 3가지 습관 — 보이는 돈·느린 결제·의식적 기록

이미지
돈과의 관계는 “더 벌어야 한다”보다 어떻게 대하는가 에서 달라집니다. 오늘은 40~60대를 위한 저마찰·저비용 3습관을 정리합니다. 보이는 돈 · 느린 결제 · 의식적 기록 . 이 세 가지만 지켜도 소액부터 안전하게, 목표로 돈을 보내는 힘이 생깁니다. 1) 보이는 돈 — “볼수록 지킨다” 핵심 화면은 딱 두 칸: PMT 달성률 과 진행률 오차 . 홈 화면에서 한 번에 보이게 만듭니다. 항목 권장 값/밴드 설정 팁 PMT 달성률 ≥ 100% 급여일+1 자동이체, 부족분 보완 이체 진행률 오차 ≤ 5% 목표선과 잔고 비교(레이더/라인) 현금 비중 10~15% 예금/MMF로 버퍼 유지 주식 합산 ≤ 55% 과노출 경고등 드리프트MAX ≤ 20% 리밸런싱 트리거 위젯/바로가기 : 대시보드 링크를 홈 화면에 고정(아이콘명 PMT%·진행률 ). 월말 PDF : 자동 메일로 스스로 보고(분기 스냅샷 보관). 2) 느린 결제 — “충동은 시간을 두면 약해진다” 24h 룰 : 지금은 장바구니만 , 결제는 내일. 결제 마찰 : 야간엔 현금 한도 , 카드 1장만 사용. 푸시 OFF : 세일·특가 알림은 전면 차단. 상황 규칙(IF–THEN) 대체 행동 야간(21~01) IF 감정점수 ≥ 3 THEN 24h 룰 물 300ml + 산책 5분 동료/지인 권유 IF 동반구매 THEN 현금 한도 장바구니 공유 후 월말 검토 광고 노출 IF 광고클릭 THEN 앱 종료 위시리스트 태그만 추가 3) 의식적 기록 ...

루틴 유지를 위한 앱과 체크리스트 업데이트 — 저마찰 알림·위젯·시트·자동화

이미지
루틴은 알림의 양 이 아니라 마찰의 크기 에서 결정됩니다. 오늘은 알림을 최소화하면서도 실행률을 높이는 앱 셋업 과 체크리스트 2.0 을 공유합니다. 핵심은 세 가지: 이탈 2회만 알림 , 금 21:00 결정 3개 , 월말 PDF 자동 보고 . 1) 최소 앱 스택(저마찰 구성) 도구 역할 권장 설정 구글 시트 대시보드/체크리스트/점수 핵심 셀만 굵게, 조건부 서식(🟢🟡🔴) 이메일 아침 데일리/금 21:00 리마인더/월말 PDF 재무 알림 라벨 생성, 받은편지함 상단 고정 캘린더 금 21:00 고정 슬랏, 분기 스냅샷 반복 일정, 15분 전 단일 알림 모바일 홈 위젯/바로가기 대시보드 원탭 접근 시트 링크를 홈 화면에 추가(아이콘 커스텀) 불필요한 푸시는 OFF. “이탈 2회” 같은 조건형 알림만 남깁니다. 2) 알림 설계 — 이탈 2회만, 금 21:00, 월말 PDF 데일리(평일 07:30) : PMT%·진행률오차만 메일 요약. 빨간 신호일 때만 강조. 주간(금 21:00) : “결정 3개(유지/축소/증액)” 집행 링크 + 로그 폼. 월말 : 대시보드 PDF 자동 첨부. 분기 마지막 주는 스냅샷 사본 생성. 집중 모드 권장: 평일 09:00~17:00 재무 알림 차단, 07:30/21:00 슬롯만 허용. 3) 체크리스트 2.0(구글 시트 구조) ...

새롭게 설정할 나의 재테크 전략은? — 레버 선택·목표 재설정·배분·자동화·12주 로드맵

이미지
전략은 한 번 세우고 끝이 아닙니다. 데이터 로 점검하고 한 레버 만 바꾸며, 12주 단위로 다시 달립니다. 오늘은 ①레버 선택 ②목표 재설정 ③배분/가드레일 ④자동화 ⑤12주 로드맵까지, 바로 실행 가능한 전략 캔버스 를 제공합니다. 1) 한 장 전략 캔버스(작성용 표) 섹션 항목 기입 예시/가이드 목표 단기(12주) PMT 달성률 ≥ 100%, 현금 10~15%, 드리프트 |편차| ≤ 20% 중기(1~3년) 비상자금 6개월치, 목표 계좌 잔고 _____원 장기(5~10년) 목표자본 _____원(연수익률 가정은 보수적) 레버 Primary(택1) PMT / 기간 / 비용 / 위험 중 하나 만 선택 Secondary(옵션) Primary가 안정화될 때까지 비활성 배분 목표 비중 주식 __% · 채권 __% · 현금 __%(10~15%) 밴드 각 자산군 ±3%p(1회 이동 ≤ 3%p) 총비용률 ≤ 0.6%p(동일 노출 저비용 우선) 가드레일 위험 한도 현금 10~15% · 주식 합산 ≤ 55% · 드리프트 |편차| ≤ 20% ...

성공과 실패의 분기점은 어디였을까? — 꺾임·위험·실행이탈 감지와 사전 경고 시스템

이미지
성과가 갈리는 순간은 의외로 짧은 찰나 에 일어납니다. 수익곡선이 꺾였을 때, 변동성이 솟구쳤을 때, 혹은 자동이체 한 번이 누락됐을 때. 오늘은 지난 12주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기점(Inflection Point) 을 찾아내고, 그 직전에 울리는 사전 경고 와 복구 루틴 까지 연결합니다. 1) 분기점 3종 정의 — 꺾임 · 위험 급등 · 실행 이탈 유형 신호 임계 기준(권장) 의미 수익곡선 꺾임 최근 N기간 기울기 < 0 N=4~6주, SLOPE(잔고, 기간) < 0 추세 둔화/역전 위험 급등 드로다운·변동성 급증 DD ≤ -15% 또는 20일 변동성 ↑ 50%+ 리스크 관리 필요 실행 이탈 PMT/리밸런싱/현금 가드레일 위반 PMT < 0.8, 현금 < 10%, 주식 > 55%, 드리프트 > 20% 규칙 미준수 가드레일: 현금 10~15%, 주식 합산 ≤ 55%, 드리프트 |편차| ≤ 20%, 1회 이동 ≤ 3%p. 2) 수익곡선 × 행동 로그 겹쳐 보기(무엇이 원인이었나) Equity 라인 : 월/주 잔고( End Balance ) 라인 차트. 행동 마커 : PMT 보완, 리밸런싱, 구독 해지 등 이벤트를 세로선 ·아이콘으로 표시. 분기점 음영 : 임계치 충족 시 해당 구간 배경을 회색/빨강으로 음영 처리. 코멘트 : 각 음영 구간 상단에 “원인→조치→결과(Δ)” ...

주식, 예금, 자동화 전략, 무엇이 통했나? — 자산군 기여·위험–수익·자동화 효과 분해

이미지
12주 동안 무엇이 실제 잔고 에 기여했을까요? 주식의 성장, 예금의 안정, 채권의 완충, 그리고 자동화 (PMT·리밸런싱·알림)가 만든 차이를 숫자 로 확인합니다. 오늘은 자산군별 기여, 위험–수익, 자동화 효과를 구글 시트 로 분해해 다음 분기의 증액/유지/축소 결정을 내립니다. 1) 자산군 기여도 워터폴 — 잔고 변화는 누가 만들었나 자산군 시작잔고 순유입(납입-인출) 평가손익 끝잔고 잔고 기여 주식 _____원 _____원 _____원 _____원 =C2+D2 예금/현금성 _____원 _____원 이자 _____원 _____원 =C3+D3 채권/대체 _____원 _____원 _____원 _____원 =C4+D4 합계 — — — — =SUM(F2:F4) 워터폴 차트: 시작잔고 → 자산군별 순유입 → 자산군별 평가손익 → 끝잔고. 2) 위험–수익 스캐터 — 수익률만 보지 말고 진동 도 보자 기간: 최근 12주. 수익률: (끝잔고-시작잔고-순유입)/시작잔고. 변동성: 주간 수익률 표준편차(연환산). 자산군 12주 수익률 주간 변동성(연환산) 샤프 근사(= (수익률-무위험)/변동성) 코멘트 주식 __% __% __ 큰 파동 허용 시 예금/현금성 __% ~0% ↑ 심리·현금버퍼 기여 채권/대체 __% __% __ 완충 역할 무위험수익률은 시트 상단 변수( B2=rf )로 두고 조정하세요. 3) 자동화의 효과 — ...

숫자로 보는 나의 자산 변화 시각화 — 스택에어리어·워터폴·언더워터·게이지·드리프트

이미지
“분명 저축하고 투자도 했는데, 왜 체감이 없지?” 해결은 시각화 입니다. 잔고의 곡선, 투입과 수익의 기여, 하락 폭, 목표 달성률, 비중 이탈까지 한 장에 모으면 다음 행동이 즉시 보입니다. 오늘은 구글 시트로 8종 핵심 차트 와 경고등 을 세팅해 숫자를 행동 으로 바꾸겠습니다. 1) 데이터 모델(Transactions → Summary) 원자료는 Transactions , 월말 집계는 Summary 에 구성합니다. 시트/열 라벨 예시/수식 설명 Transactions!A Date YYYY-MM-DD 거래일 Transactions!B Type IN/OUT/RETURN 입금/출금/평가손익 Transactions!C Amount 정수/소수 금액(+/-) Transactions!D Asset Cash/Stock/Bond… 자산군 Transactions!E Month =EOMONTH(A2,0) 월말 라벨 Summary 시트(월별 스냅샷): Summary!A Month 피벗 월별 라벨 Summary!B Inflow 피벗 합계 월 입금 Summary!C Outflow 피벗 합계 월 출금 Summary!D Return 피벗 합계 월 평가손익 Summary!E Net =B2-C2+D2 월 순증감 Summary!F Cum Inflow =SUM($B$2:B2) 누적 납입 Summary!G Cum Return =SUM($D$2:D2) 누적 수익 Summary!H End Balance =SUM($E$2:E2) 월말 잔고 Summary!I Peak =MAX($H$2:H2) 누적 고점 Sum...

계획과 실제의 차이를 점검하는 법 — 오차 표준화·원인 매핑·갭 리포트·자동화

이미지
계획은 가정 이고, 실제는 데이터 입니다. 둘의 차이를 감정이 아니라 표준화된 숫자 로 비교하면, 다음 행동이 또렷해집니다. 오늘은 오차를 %·금액·일수 로 표준화하고, PMT·기간·비용·위험 네 가지 레버로 원인을 매핑한 뒤, 갭 리포트 와 자동 메일 까지 세팅합니다. 1) 오차를 먼저 표준화하자(같은 언어로 비교) 오차 종류 정의 시트 수식(예) 권장 기준선 진행률 오차(%) 현재 잔고 vs 이번달 목표잔고 =ABS(현재잔고/이번달목표-1) ≤ 5% PMT 오차(금액) 필요 PMT 대비 실제 입금 부족분 =MAX(필요PMT-실제입금,0) 0원(보완 이체) 일정 오차(일) 계획일 vs 집행일 차이 =DATEDIF(계획일,집행일,"D") ≤ 3일 비용 오차(%p) 목표 총비용률 대비 실제 =실제비용률-목표비용률 ≤ 0.0%p(목표 0.6%p 이하) 위험 오차 가드레일 위반 정도 =MAX(0,주식합산-0.55,0.10-현금,드리프트MAX-0.20) 0(무위반)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 합산 ≤ 55% · 드리프트 |편차| ≤ 20% . 2) 원인-결과 매핑(갭 → 레버 → 행동) ...

12주간의 나, 얼마나 바뀌었을까? — 전/후 비교·KPI 보드·그래프 번들·다음 12주 로드맵

이미지
12주면 습관이 결과 로 변하기에 충분한 시간입니다. 오늘은 지난 12주를 전/후 비교 로 정리하고, 대시보드 그래프와 행동 로그를 통해 무엇이 효과적이었는지 가려낸 뒤, 다음 12주 로드맵 을 만듭니다. 핵심은 간단합니다. 느낌이 아니라 숫자로 판단 . 1) 12주 KPI 보드(전/후 비교) KPI 12주 전 12주 후 변화(Δ) 판정 총 잔고 _____원 _____원 =C2-B2 ↑/↓ PMT 달성률 _____% _____% =C3-B3 ≥100% 🟢 현금 비중 _____% _____% =C4-B4 10~15% 🟢 주식 합산 _____% _____% =C5-B5 ≤55% 🟢 드리프트MAX _____% _____% =C6-B6 ≤20% 🟢 최대낙폭(MDD) _____% _____% =C7-B7 개선 시 🟢 총비용률(연) ___.__%p ___.__%p =C8-B8 ≤0.6%p 🟢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 합산 ≤ 55% · 드리프트 |편차| ≤ 20% . 2) 구글 시트 전/후 계산 블록(복붙) 셀 라벨 값/수식 A2 잔고(전) 초기 스냅샷 값 A3 잔고(후) 현재 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