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E vs ROA – 나의 돈이 아닌 회사 자산을 보는 이유
서론 투자를 하면서 종종 듣는 말이 있습니다. “이 기업 ROE가 높다”, “ROA가 낮으니 조심하라” 등. 하지만 이 두 지표의 의미와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숫자에 속아 잘못된 판단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ROE와 ROA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자산 구조까지 주의해야 하는지, 그리고 투자자로서 이 지표들을 어떻게 활용할지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1. ROE(자기자본이익률)이란? ROE(ROE, Return on Equity)는 한 기업이 주주가 투자한 자기자본을 사용해 얼마만큼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즉, 순이익(Net Income)을 평균 자기자(Average Shareholders’ Equity)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지표가 높다는 것은 주주 입장에서 자본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2. ROA(총자산이익률)이란? ROA(ROA, Return on Assets)는 기업이 가진 총 자산(자기자본 + 부채 포함) 을 활용해 얼마만큼 순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줍니다. 즉, 순이익을 평균 총자산(Average Total Assets)으로 나눈 지표입니다. 자산 구조, 부채 비율 등이 반영되므로 경영 전반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유리합니다. 3. ROE와 ROA의 차이 – 왜 중요한가? 두 지표의 차이를 이해하면 기업의 재무구조와 리스크를 더 잘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산 대비 효율 vs 주주자본 대비 효율: ROA는 기업이 가진 모든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했는지를 보여주고, ROE는 주주가 투자한 자본이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부채(레버리지)의 영향: 기업이 부채를 많이 사용하면 자기자본 대비 수익률인 ROE는 높아질 수 있지만, 자산 대비 수익률인 ROA는 그대로이거나 낮을 수 있습니다. 해석 시 주의사항: ROE가 매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