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의 월급 만드는 IRP, 연금저축 활용법

 “연말정산에서 환급받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뭔가요?”

답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바로 **IRP(개인형 퇴직연금)**와 연금저축 활용입니다.
이 두 상품은 세액공제가 가능한 대표적인 절세 수단이에요.

오늘은
✔ IRP와 연금저축의 차이
✔ 세액공제 한도와 조건
✔ 실전 절세 전략
을 정리해드립니다.


IRP와 연금저축의 개념 차이

구분 연금저축 IRP
가입 대상 누구나 가입 가능 근로자, 자영업자 등
세액공제 한도 400만 원 700만 원 (연금저축 포함 시 900만 원)
운용 방식 펀드, 예금 등 선택 가능 예금/펀드 등 다양한 자산 운용 가능
인출 시기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동일

얼마나 절세되나요?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세액공제율 16.5% 적용
✔ 초과 시: 13.2% 적용

예시)
IRP+연금저축에 연간 300만 원 납입 →
👉 최대 49.5만 원 환급 가능


실전 활용 전략

연말정산 전에 한 번 납입만 해도 효과 O
 – 매년 12월에 일시납도 가능 (단, 과도한 금액은 비효율)

연금저축 + IRP 함께 활용
 – 연금저축 400만 원, IRP 500만 원 → 최대 900만 원 공제

단기 자금 아님!
 – 중도 해지 시 세금 추징 (5.5% 기타소득세 + 공제세액 환수)


자주 하는 질문

Q. 두 개 중 하나만 해야 하나요?
A. 둘 다 가능합니다. 한도 내에서 각각 공제 대상입니다.

Q. 연금저축펀드와 연금저축보험, 뭐가 유리하죠?
A. 일반적으로 펀드형 상품이 수익률 면에서 유리하지만,
  안정성 우선이라면 보험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연말정산에서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전략,
바로 IRP와 연금저축 세액공제 활용입니다.

✔ 노후 준비도 하고
✔ 세금도 줄이고
✔ ‘13월의 월급’도 챙길 수 있는 1석 3조 전략

아직 준비하지 않으셨다면, 지금이 시작할 때입니다.


다음 글 예고

[세테크 – 절세 전략 실전 적용]

연금저축, IRP 말고도
✔ 신혼부부가 받을 수 있는 공제
✔ 청년을 위한 세액공제 혜택
✔ 부양가족 등록 전략 등

다음 글에서는 ‘상황별 절세 전략’을 본격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립니다.
내 상황에 맞는 절세 시나리오를 지금부터 만들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