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명세서 속 세금, 도대체 뭘까?
"월급이 250만 원인데…
왜 통장엔 220만 원만 들어오지?"
많은 직장인들이 겪는 의문이죠.
우리는 매달 급여명세서를 받지만,
정작 빠져나가는 세금 항목이 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급여명세서를 실제로 뜯어보며
내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세금의 정체를 정리해드릴게요.
급여명세서의 세금 항목은 이렇게 나뉩니다
항목 | 내용 | 부과 기준 |
---|---|---|
소득세 | 연간 소득에 따라 누진 과세 | 과세표준에 따라 6~45% |
주민세 | 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납부 | 소득세의 10% |
국민연금 |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보험료 | 기준소득 × 4.5% |
건강보험료 | 병원비 보조를 위한 사회보험 | 기준소득 × 7.09%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의 일부로 분리 공제 | 건강보험료의 12.81% |
고용보험료 | 실업급여 재원, 고용안정 기금 | 기준소득 × 0.9% |
요약: 급여의 흐름
-
총지급액 – 공제항목 = 실수령액
-
공제항목은 세금(소득세·주민세) +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 월급의 10~15%는 공제로 빠져나갑니다.
📌 정확히 파악하면 절세, 연말정산, 보험 설계에 도움이 됩니다.
실전 팁
✔ 매달 급여명세서를 저장해 두세요
✔ ‘소득세’는 연말정산에 연동되므로 확인 필수
✔ 건강보험료·국민연금은 연봉 인상 시 자동으로 오릅니다
✔ 공제항목은 사대보험센터·홈택스에서도 확인 가능
마무리하며
월급을 ‘관리’한다는 건,
들어오는 돈뿐 아니라 나가는 세금도 챙기는 것입니다.
지금부터라도
-
공제 항목이 뭔지,
-
내가 매달 얼마를 세금으로 내고 있는지,
직접 확인해보세요.
돈을 아끼는 가장 좋은 방법은
‘흘러나가는 곳’을 아는 것입니다.
다음 글 예고
[금융소득세 완벽 정리 – 이자·배당에 붙는 세금 이해하기]
예금, 적금, 배당주에서 받는 수익에도 세금이 붙습니다.
그 이름이 바로 ‘금융소득세’죠.
다음 글에서는
✔ 금융소득세의 개념
✔ 과세 기준과 절세 방법
✔ 종합과세 대상자 기준까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