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년 후 나는 얼마나 성장할까? 목표 다짐서 작성하기

"오늘 다짐이 1년 후 실력이 됩니다."

저도 매년 1년 계획을 세웠지만, 구체성 없이 흐지부지 지나간 적이 많았죠.

이번 글에서는 1년 후 목표를 현실로 연결하는 다짐서 작성법, 체크리스트 양식, 동기 유지 전략을 안내드립니다.


① 목표 다짐서, 이렇게 작성하세요

다음 항목을 다짐서 형식으로 작성하면, 1년 후 리뷰 시점이 더욱 명확해집니다:

  • ✍️ 작성일/리뷰일: 예) 2025년 7월 9일 작성 / 2026년 7월 9일 리뷰
  • 🎯 주요 3대 목표: 자산 성장, 리밸런싱, 정보 습득
  • 🔎 실천 지표: 자동 이체 유지, 분기 점검 실시, 구독 채널 학습
  • 💬 한 마디 다짐 문장: “오늘의 한 걸음이 1년 후의 변화가 됩니다”

② 체크리스트로 실천 흐름 만들기

항목 목표 지표 완료 주기
자동이체 유지 100% 이체 성공 월 1회
분기 리밸런싱 분기별 4회 이행 분기 1회
자산 보고서 작성 분기별 작성 분기 1회
재테크 정보 학습 월 1권 도서 or 정기 채널 정리 월 1회
자기 점검 연 1회 다짐서 리뷰 연 1회

③ 동기 유지, 이렇게 하세요

  • 🗓 캘린더 리마인더 설정 – 다짐 리뷰 날짜 뚜렷히 등록
  • 👥 친구와 함께 목표 공유 – 서로 피드백하며 실행 동기 강화
  • 🏆 중간 보상 계획 – 예: 분기마다 소소한 선물 약속

마무리하며: 1년 후, 당신이 자랑스러울 수 있게

다짐서에 적힌 문장은 평범해 보여도, 1년 뒤 리뷰할 때의 나를 만들어 줍니다.

타인의 목표가 아닌, 나만의 다짐과 실천이 1년 후를 다르게 만듭니다. 

당신도 분명 자랑스러운 자산 관리자일 거예요.


📌 다음 이야기 미리 보기: 주식 개념과 기본 원리

목표 다짐도 세웠다면, 이제는 투자 수단 하나하나 개념을 하나씩 잡아나갈 차례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주식이 무엇인지, 주식 시장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수익·손실의 기본 원리까지 

‘주식 개념과 기본 원리’를 스토리텔링과 함께 쉽게 안내해드립니다.


👉 다음 회차도 기대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