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내 자산을 한눈에! 구글 시트 차트 만들기 — 도넛·드리프트·라인·콤보 대시보드

표로만 보는 자산 현황은 늘 복잡합니다. 저는 차트 4개로 끝내는 대시보드를 만들고, 매월 10분 만에 업데이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시트로 도넛(비중) · 드리프트 막대 · 순자산·MDD 콤보 · 월 수익률 막대를 만드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 데이터 준비 — 표준 입력 구조

아래 구조로 시트를 구성하면 차트가 한 번에 연결됩니다.

시트명 핵심 컬럼 설명
자산입력 자산항목 | 목표w | 현재금액 | 현재w 현재w = 현재금액 / SUM(현재금액)
월별스냅샷 월 | 순자산 | 월수익률(TWR) | 러닝피크 | MDD 러닝피크=누적 최고점, MDD=순자산/러닝피크-1
설정 계좌가치 | 밴드 | 주식합산상한 등 대시보드 경보 기준 저장

드리프트(편차율) 컬럼을 추가하세요: =IFERROR((현재w-목표w)/목표w,0)


2) 차트 #1 — 도넛(자산 비중 한눈에)

  1. 범위: 자산입력!A2:A (자산항목), D2:D (현재w)
  2. 삽입 > 차트도넛 차트 선택
  3. 설정: 값 형식 ‘백분율’, 도넛 구멍 50%, 레이블=이름+%
  4. 디자인 팁: 파레트 4색(파랑/초록/주황/보라), 범례는 하단

도넛 하나만으로 주식·채권·현금·대체 비중이 즉시 보입니다.


3) 차트 #2 — 드리프트 막대(목표 대비 편차)

어디를 줄이고(음수), 어디를 늘릴지(양수)를 보여주는 핵심 차트입니다.

  1. 범위: 자산입력!A2:A (자산항목), E2:E (드리프트)
  2. 차트 유형: 세로 막대
  3. 커스터마이즈기준선=0 추가, 음수=빨강, 양수=파랑
  4. 데이터 라벨: % 표시(소수점 0~1)

편차가 ±20% (밴드) 밖이면 리밸런싱 후보로 표시하세요.


4) 차트 #3 — 순자산 & MDD 콤보(라인+영역)

하락 구간의 깊이와 회복 속도를 한 화면에서 확인합니다.

  1. 월별스냅샷 시트에 수식 추가:
    • 러닝피크: =MAX($B$2:B2) (B열=순자산)
    • MDD: =B2/C2 - 1 (C열=러닝피크)
  2. 범위: 월(A열), 순자산(B열), MDD(E열)
  3. 차트: 콤보 → 순자산=라인, MDD=영역(보조축, 음수 빨강)
  4. 축 서식: 보조축 범위 -40%~0%

라인은 자산의 성장, 영역은 감내한 손실을 보여줍니다.


5) 차트 #4 — 월 수익률 막대(TWR)

  1. 범위: 월별스냅샷!A열(월), D열(월수익률)
  2. 차트: 세로 막대 → 0 기준선 표시
  3. 막대 색: 양수=초록, 음수=주황
  4. 평균선: 추가 시리즈로 고정 0%선 또는 이동평균(3개월) 삽입

월별 성과의 리듬과 변동성을 단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6) 경보 박스(조건부 서식)

차트 옆에 작은 표로 경보를 띄워 실수 확률을 줄이세요.

항목 기준 상태(수식)
주식합산 ≤ 55% =IF(합산주식비중<=0.55,"정상","경보")
밴드 이탈 |드리프트| ≤ 20% =IF(MAX(ABS(드리프트범위))<=0.2,"정상","조정")
MDD ≥ -12% =IF(MIN(MDD범위)>=-0.12,"정상","주의")

조건부 서식: 텍스트가 ‘경보/주의’이면 배경 빨강/주황으로 표시.


7) 배치 팁 — 2x2 대시보드로 한 화면 완성

  • 좌상: 도넛(현재 비중)
  • 우상: 드리프트 막대(목표 대비)
  • 좌하: 순자산·MDD 콤보
  • 우하: 월 수익률 막대

차트 제목은 간단히: “자산 비중(현재)”, “드리프트(목표 대비)”, “순자산 & MDD”, “월 수익률(TWR)”.


8) 자동 업데이트 요령(월 10분)

  1. 매월 말일: 현재금액만 자산입력에 갱신
  2. 월별스냅샷: 순자산·월수익률 한 줄 추가 (수식이면 자동)
  3. 차트 새로고침: 시트가 자동 반영
  4. PDF 내보내기: 파일 > 다운로드 > PDF(보고서용)

지역설정에 따라 수식 구분자가 ‘,’가 ‘;’로 바뀔 수 있습니다. 오류 시 구분자를 교체하세요.


마무리

대시보드는 숫자를 행동으로 바꾸는 도구입니다. 오늘 소개한 4개 차트만 고정해도, 쏠림·편차·손실·성과를 즉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달부터는 “표를 해석”하지 말고, “그림으로 결정”해보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위 대시보드를 바탕으로 월간 1페이지 투자 보고서를 만드는 법을 안내합니다. 길 필요 없습니다. 핵심 그림 + 3문장 코멘트면 충분합니다.

  • 🧩 구성: 표지(핵심 KPI) + 2x2 차트 + 경보 박스
  • ✍️ 코멘트 3문장 규칙: 무슨 일이 있었나 → 원인 → 다음 액션
  • 📤 PDF/이메일 자동 발송(Apps Script 스니펫 제공)
  • 🗓️ 월 10분 루틴으로 ‘꾸준함’ 유지

보고서는 ‘기록’이 아니라 다음 결정을 돕는 도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