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한 달 부수입 얼마나 벌었는지 체크하는 법

“매출은 올랐는데, 왜 통장 잔액은 그대로죠?” 

부수입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매출이 아니라 순이익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월 수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점검표, 항목별 계산 방법, 그리고 다음 달 개선 포인트를 도출하는 실전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1. 월간 수익 점검표(템플릿)

아래 표는 한 달 부수입을 매출 → 비용 → 순이익 흐름으로 정리하는 기본 구조입니다. 항목을 매달 동일하게 유지하면, 누적 비교가 가능해져 의사결정이 빨라집니다.

항목 금액(원) 비율 비고
총매출 1,200,000 100% 전체 수익
수수료/플랫폼비 120,000 10% 쿠팡, 당근, 애드센스 등
원가/제작비 300,000 25% 상품 제작, 재료비
광고/프로모션비 80,000 6.6% SNS 광고, 검색광고
운영비 50,000 4.1% 택배비, 포장비, 툴 구독
순이익 650,000 54% 목표: 50% 이상 유지

2. 수익 점검 핵심 포인트

  • 비율 분석 – 순이익률이 50% 미만이면 원가·광고비 구조 점검
  • 비용 증가 원인 – 특정 달에 광고비, 원가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했는지 확인
  • 매출 편중 여부 – 한 파이프라인에서 70% 이상 매출 발생 시 리스크 분산 필요
  • 비정기 수입 – 이벤트성 수익(강연, 단발성 판매)을 구분 기록

3. 파이프라인별 세부 분석

수익의 ‘출처’를 분석하면, 다음 달 어디에 집중할지 감이 잡힙니다.

  • 전자책: 판매량 대비 리뷰 수 비율 → 구매 만족도 지표
  • 강의: 수강 완료율이 낮으면 커리큘럼·영상 길이 점검
  • 유튜브: 조회수 대비 광고수익 RPM 비교
  • 커머스: 상품별 마진율 비교 → 저마진 상품 단종 검토
  • 중고거래: 재고 회전일 분석 → 오래된 상품 가격 인하

4. 다음 달 실행 계획 도출

  1. TOP 20% 집중 – 가장 효율 높은 20% 파이프라인에 시간·광고비 집중
  2. 원가 절감 – 공급처 협상, 대체 소재 사용
  3. 광고 최적화 – 전환율 낮은 캠페인 중단, 상위 키워드만 유지

마무리

매월 같은 형식으로 수익을 기록하면, 패턴이 보입니다. 그리고 그 패턴 속에서 ‘성장 레버리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부수입은 운이 아니라 측정과 조정이 만든 결과입니다.


📌 다음 글 예고: 부수입 전략, 다음 단계 목표 설정하는 방법

다음 글에서는 수익 데이터를 기반으로 SMART 목표를 설정하고, 단기·중기·장기 로드맵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