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순자산 계산으로 보는 진짜 내 자산 규모 — 부채 포함 실질 평가법

"나는 어느 정도 자산을 가진 사람일까?" 이 질문에 대부분은 이렇게 답합니다. "예금은 5천 정도, 주식은 2천 있고… 연금도 좀 되지."

하지만 실제 자산 규모를 판단할 때 더 중요한 것은 순자산(Net Worth)입니다. 예금이 많아도 대출이 크면 실질 자산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순자산의 정의부터 계산법, 연령대 기준표, 실질 점검 항목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1. 순자산이란 무엇인가?

순자산(Net Worth)은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금액입니다.

순자산 = 총자산 – 총부채

  • 총자산: 예금, 투자자산(주식·채권·펀드 등), 부동산, 자동차, 연금자산, 보험환급금 등
  • 총부채: 주택담보대출, 전세보증금 반환 의무, 마이너스 통장, 신용카드 미납, 자동차 할부 등

쉽게 말하면, 지금 내가 가진 자산에서 지금 당장 갚아야 할 돈을 모두 뺀 값이 순자산입니다.

2. 순자산 계산 예시

예시: 50대 직장인 B씨

항목 금액 (만원)
예금 및 현금 6,000
주식/펀드/ETF 4,000
퇴직연금(IRP) 3,500
부동산(실거주 주택) 45,000
차량 (중고가 기준) 1,000
총자산 59,500
주택담보대출 -18,000
신용대출/카드대금 -1,500
총부채 -19,500
순자산 (총자산 – 총부채) 40,000

3. 연령대별 평균 순자산 비교 (한국 기준)

통계청 2024년 자료 기준 (단위: 만원)

연령대 평균 순자산
30대 22,900
40대 36,000
50대 47,200
60대 42,300

※ 부동산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유동성 기준 점검도 함께 필요합니다.

4. 순자산 점검 체크리스트

  • ✅ 부채가 전체 자산의 40%를 넘지 않는가?
  • ✅ 연금자산, 퇴직연금은 포함되었는가?
  • ✅ 부동산 시세는 실거래가 또는 KB 기준가인가?
  • ✅ 해지환급금 기준 보험 포함 여부 확인
  • ✅ 자산 간 유동성과 분산 상태 점검

💬 마무리하며

순자산은 단순한 자산 합계가 아닌 내가 실제로 가진 순수한 재무 여력입니다. 매년 또는 반기에 한 번, 순자산 계산을 습관화해보세요. 부채 비율 조정과 자산 구조 개편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구글 시트로 순자산 진단표를 만드는 방법과 무료 템플릿을 공유합니다. 클릭 몇 번이면 자동 계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니, 실전 적용까지 이어서 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