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국내외 투자 자동화 플랫폼 TOP 5

플랫폼 선택은 기능이 아니라 업무 흐름의 선택입니다. 

아래는 현업에서 널리 쓰이는 5가지 유형과 대표 예시, 적합한 투자자 프로필입니다(예시는 정보 출처를 참고). 실사용 전 약관·수수료·지원시장·API 한도를 꼭 확인하세요.


국내외 투자 자동화 플랫폼 TOP 5

IBKR (글로벌 브로커 API)

다자산문서 풍부확장성↑

무엇: TWS/Client Portal API로 주문·시세·계좌 제어.

장점: 시장 범위 넓고 자료 충실. 적합: 해외/다자산, 자체 서버 운영.

참고: 공식 API 문서·가이드 확인.

Alpaca 등(API-first)

간결 API알고리즘 친화

무엇: REST/웹소켓 기반의 개발자 친화형 브로커.

장점: 셋업 간단. 주의: 자산/지역 지원 범위 확인.

참고: 요금·지원시장·약관 필수 확인.

국내 오픈API (키움·한국투자·이베스트)

국내시장조건검색

무엇: 각 증권사 OpenAPI로 국내(일부 해외) 자동화.

포인트: 사용등록/접속정책, 호출 한도·약관 체크.

참고: 각사 개발자 센터 문서.

QuantConnect / LEAN

연구↔실거래오픈소스 엔진

무엇: 연구–백테스트–라이브를 잇는 파이프라인.

장점: 다자산·클라우드/온프레미스. 난이도: 중~상.

참고: LEAN 문서·커뮤니티.

TradingView Webhook

노코드시그널→주문

무엇: 차트 알림 → Webhook POST로 외부 앱/브로커 연동.

장점: 구현 빠름. 주의: 파트너 호환·보안 검증 필수.

참고: Webhook 기능 가이드.

※ 정보 제공 목적이며, 각 플랫폼의 최신 지원 범위·수수료·약관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비용·난이도·확장성 비교(간단 가이드)

  • 비용: API-first·국내 오픈API는 기본 수수료 체계+데이터 비용, 연구형은 연산/저장 비용을 고려.
  • 난이도: 노코드(Webhook) < API-first < 브로커 API < 연구형(엔진 운영).
  • 확장성: 연구형/브로커 API > API-first > Webhook.


빠른 선택 루트

①국내 주식 위주→ 국내 오픈API 검토 → ②해외/다자산→ IBKR 또는 연구형 → ③코드 최소화→ Webhook 또는 API-first.

결론: “내 전략·시간·예산·자산군” 4요소를 먼저 정리하고 유형을 고르면 시행착오가 줄어듭니다. 실거래 전엔 반드시 모의/소액 테스트로 검증하세요.

※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입니다. 각 플랫폼의 최신 지원·약관·수수료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다음 글 예고

플랫폼 목록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나에게 맞는 도구를 고르는 기준이 필요하죠. 

다음 글은 실전 결정을 돕는 기준과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다음 글에서 다룰 것

  • 자산군·보유기간·코딩선호·예산 정렬
  • 데이터/수수료/슬리피지 현실 반영법
  • API 한도·규정·보안(키 관리·IP 허용목록)
  • 운영·모니터링·리포트 자동화 고려사항
  • 모의→소액→확대 3단 검증 루틴

미리보기: 체크리스트 5

1R(계좌%)·월 손실 한도 문서화
데이터 지연/실시간 비용 이해
API/오픈API 약관·호출한도 확인
Webhook/키 보안 설정
월간 리포트 자동 생성

※ 교육용 콘텐츠이며, 투자 결과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