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회 회피 성향 – ‘그때 팔 걸…’이 계속 반복되는 심리
서론
투자를 하면서 한 번쯤은 이런 생각이 들었을 겁니다. “아 그때 팔았어야 했는데…” 이런 후회가 반복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후회 회피 성향(Regret Aversion)입니다. 즉, 잘못된 결정을 했을 때 느낄 후회를 피하기 위해 우리는 합리적 결정보다 감정적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심리가 어떻게 투자에서 작용하는지, 더 크게 손실로 이어지는 이유와 대응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1. 후회 회피란 무엇인가?
후회 회피는 “미래에 내가 내린 결정 때문에 후회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려고 하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투자 맥락에선 잘못된 종목을 빨리 처분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잘 오르는 종목을 너무 빨리 팔아버리는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2. 투자에서 나타나는 구체적 형태
- 손실 중인 종목 붙잡기: ‘언젠가 오르겠지’라는 기대하에 빠져나오지 못함.
- 익절 시점 못 잡기: 수익이 나고 있지만 ‘더 오를 거야’라는 생각으로 과도하게 보유해 수익이 감소하거나 손실로 바뀜.
- 시장 진입/이탈 지연: 매수 기회가 왔을 때 ‘혹시 더 나쁠까 봐’ 망설이고, 시장이 올라간 후 후회함.
3. 왜 더 큰 손실로 이어지는가?
후회를 피하려는 마음이 작용하면 다음과 같은 악순환이 생깁니다:
- 손실이 난 종목을 버리지 못해 더 큰 손실로 확대.
- 익절해야 할 상황에서 제때 팔지 못해 수익이 줄어듦.
- 매수 타이밍을 놓치며 기회를 상실하고, 그로 인해 또다시 후회함.
4. 대응 전략 및 실전 팁
- 사전 규칙 설정: 투자 전에 ‘이 정도 손실이면 청산한다’, ‘이익이 X% 나오면 일부 매도한다’ 같은 규칙을 만들어 두세요.
- 감정 기록 습관화: 매매 후 “내가 왜 안 팔았나?”, “왜 팔았나?”를 메모해 두고 반복되는 패턴을 체크하세요.
- 루틴화된 판단 흐름: 감정이 흔들릴 때 참조할 기준표나 체크리스트를 마련해두면 후회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결론
후회의 감정은 자연스럽지만, 이 감정이 투자 판단을 지배하면 반복되는 실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후회가 아니라 배우는 것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나만의 청산 기준과 기록 루틴을 만들어보세요. 후회는 줄이고, 전략적 행동을 늘리는 것이 투자 성공의 길입니다.
최근 투자 중 하나를 떠올려보세요. “왜 그때 팔지 않았나?”, “내가 느낀 후회의 이유는 무엇인가?”, “다음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 질문으로 나만의 후회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보시길 권합니다.
관련 글: 대표성 오류 – 최근 경험이 판단을 지배할 때
카테고리: 투자 전략
예고
군중 심리 – 남들이 사면 나도 사고 싶어지는 이유
다음 글에서는 투자 시장에서 자주 나타나는 ‘군중 심리’ 현상을 다룹니다.
남들이 매수하니까 나도 산다, 유행 따라 산다… 이런 판단이 왜 위험한가, 어떻게 대응할까를 살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