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 – 진짜 이익이 어디서 나오는가
서론 투자 분석 시 사랑받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 회사 영업이익률이 좋다”, “순이익률이 떨어졌다” 등. 하지만 이 두 지표가 의미하는 바와 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좋은 기업이라 판단한 뒤 막상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 과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이 무엇인지, 각각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투자자로서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1. 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이란?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즉, 본업(주요 사업활동)을 통해 매출이 얼마나 수익으로 연결되었는가를 보여줍니다. 본업 외의 비용(이자비용, 세금, 투자손익 등)을 제외한 상태에서의 수익성이기에, 기업 운영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100% 예컨대, 매출이 1,000억이고 영업이익이 100억이라면 영업이익률은 10%가 됩니다. 2.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이란? 순이익률은 매출 대비 최종 이익(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기업이 모든 비용(매출원가, 판관비, 이자, 세금, 비영업손익 등)을 제외한 후 남은 ‘진짜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역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 × 100% 예컨대 매출이 1,000억이고 당기순이익이 50억이라면 순이익률은 5%가 됩니다. 3. 영업이익률 vs 순이익률 – 차이를 이해하자 이 두 지표가 왜 다르게 나타나는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매출이 먼저이고 → 매출원가 및 판관비 등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남습니다. 영업이익에서 이자비용, 세금, 비영업손익이 빠지면 당기순이익이 나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