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유동비율인 게시물 표시

유동자산 vs 비유동자산 구분법 – 단기 운영 능력 체크

이미지
서론 기업의 자산 구조에서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은 매우 중요한 구분입니다. 유동자산은 단기 지불 능력과 운영 여유를, 비유동자산은 장기 성장 기반과 자본 구조를 반영합니다. 이 글에서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정의, 특징, 그리고 단기 운영 능력을 평가하는 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본론 1.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정의 및 구성 유동자산 (Current Assets): 1년(또는 영업주기) 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예: 현금, 예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선급금 등 비유동자산 (Non‑Current Assets): 장기적으로 보유되는 자산. 예: 유형자산(토지, 건물, 설비), 무형자산, 투자자산, 장기금융자산 등 2. 유동자산의 기능과 한계 단기 채무 상환 능력 확보에 직접적 영향 운영자금, 매출채권 회수, 재고 회전율과 밀접한 관계 과잉 재고, 매출채권 회전 지연 등은 유동자산이 실제 유동성이 낮은 상태일 수 있음 3. 비유동자산의 기능과 리스크 생산설비, 기술 투자 등 장기적 경쟁력 기반 감가상각, 투자 회수 위험, 자산 활용률 저하 위험 상존 과대평가된 자산, 유휴 자산 등이 재무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음 4. 단기 운영 능력 평가 지표 유동비율 (Current Ratio): 유동자산 ÷ 유동부채 — 단기 채무 상환 능력 평균 지표 당좌비율 (Quick Ratio):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 재고를 제외한 유동성 지표 매출채권 회전율: 매출 ÷ 매출채권 — 채권 회수 속도 지표 재고자산 회전율: 매출원가 ÷ 평균 재고 — 재고 회전 속도 지표 5. 실제 분석 흐름 예시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규모 및 비중 확인 유동비율, 당좌비율 계산 및 비교 매출채권 회전율, 재고자산 회전율 등 운영 지...

 유동비율과 단기지급 능력 – 위기에 강한 기업은 따로 있다

이미지
서론 기업이 아무리 수익성이 좋아도, 단기 채무를 감당하지 못하면 신용 위기나 파산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 , 즉 “1년 내 갚아야 할 부채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나”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들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유동비율(Current Ratio), 당좌비율(Quick Ratio) 등 핵심 유동성 지표와 해석 기준, 유의점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본론 1. 유동비율(Current Ratio)이란? 유동비율은 기업의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단기채무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대표 지표입니다. 공식: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보통 백분율로 표현) 예시: 유동자산이 200억, 유동부채가 100억이면 → 유동비율 = 200 ÷ 100 = 2.0 (200%) 2. 당좌비율(Quick Ratio)이란? 당좌비율은 유동비율보다 더 엄격한 지표로, 재고자산 등 현금화 속도가 느린 항목을 제외하고 계산합니다. 공식: 당좌비율 =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3. 해석 기준과 적정 수준 유동비율이 100% 이상이면 단기채무를 감당할 여력이 있음 150~200% 이상이면 안정적이라고 평가되기도 함 당좌비율이 100% 이상이면 재고 없이도 채무 감당 가능 너무 높은 유동비율은 과잉 유동성 보유를 의미할 수 있음 4. 유동비율 & 당좌비율 비교표 지표 계산식 특징 및 해석 유동비율 유동자산 ÷ 유동부채 단기 채무 감당 능력 전반적 점검 당좌비율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재고 제외, 현금화 중심의 청산 능력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