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재테크 자동화인 게시물 표시

루틴이 자동으로 돌아가게 만드는 법 — 알림·갱신·보고서 자동화

이미지
좋은 계획도 바쁠 때는 무너집니다. 그래서 저는 알림 → 확인 → 실행 → 보고 를 자동화했습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그대로 따라 할 수 있도록, 구글 시트·캘린더·Apps Script로 월간·분기 루틴 을 자동으로 돌리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1) 자동화 설계도(한 눈에 보기) 알림 : 캘린더/스크립트가 월말·분기말 21:00에 메일/팝업 발송 갱신 : 시트가 최신 평가금액을 반영, KPI·드리프트 자동 계산 후보 표시 : 밴드 이탈·주식합산·현금버퍼 신호등 색상 보고 : 1페이지 대시보드를 PDF로 내보내 이메일 전송 핵심은 사람이 할 일은 숫자 입력 과 최종 확인 뿐이라는 점입니다. 2) 시트 준비(필수 탭) 자산입력 : 자산 | 목표w | 현재금액 | 현재w | 드리프트 현재w = 현재금액 / SUM(현재금액), 드리프트=(현재w-목표w)/목표w 월별스냅샷 : 월 | 순자산 | 러닝피크 | 월수익률(TWR) | MDD 대시보드 : KPI 카드 6개 + 차트 4개(도넛/드리프트/순자산·MDD/월수익률) 설정 : 수신 이메일, 보고서 시트명, 월평균지출, 총부채 등 3) Apps Script(복붙·실행) 스프레드시트 → 확장 프로그램 ▸ Apps Script 에서 아래 코드를 붙여넣고 저장 후 실행하세요. function onOpen(){ SpreadsheetApp.getUi() .createMenu('Finance Routine') .addItem('① 월말 루틴 실행','runMonthlyRoutine') .addItem('② 분기 리뷰 실행','runQuarterlyReview') .addItem('③ 트리거 설정(자동화)','setupTriggers') .addToU...

자산 관리, 시스템화하면 관리할 것이 없다

이미지
"매달 이체할 때 스트레스 받나요? 이제는 시스템으로 해결하세요." 저도 초기에 ‘이번 달도 보냈다 안 보냈다…’ 하다가 자동이체 하나로 스트레스가 사라지는 경험 을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자동화하여 실천 가능한 구조로 바꾸는 방법 , 그리고 설계 원칙 들을 나눠보겠습니다. ① 왜 ‘자동화’를 먼저 해야 할까? 수동은 실수와 마음의 부담을 유발합니다: ❌ 급여일 잊으면 이체 안 함 → 루틴 깨짐 ❌ 이체하거나 안 하면 마음이 계속 걸림 ✅ 자동화하면 ‘설정 → 잊기’ 구조가 가능해집니다 자동화는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의지를 대신하는 시스템 설계 입니다. ② 기본 설정: 어떤 항목을 자동화할까? 자동화할 항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저축 : 비상금, 목표 저축 자동이체 📈 투자 : ETF/펀드/로보어드바이저 정기 투자 🔁 청구·납부 : 보험료, 세금 납부 등 고정지출 다음과 같이 구조화해보세요: 항목 비율/금액 이체일 계좌/서비스 비상금 적립 10만원 급여일+1일 파킹통장 목표 적금 20만원 급여일+2일 적금 계좌 ETF 투자 10만원 급여일+3일 증권계좌 ③ 자동화 시스템 유지 원칙 🔄 한 달에 한 번, 시스템 점검 : 이체 성공 여부·잔액 부족 확인 📝 변화 시 자동 조정 : 급여 변화 등 있다면 즉시 설정 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