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트레이딩 저널인 게시물 표시

투자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법 — 저널·태깅·월간 리포트 자동화

이미지
“이번에도 계획을 어겼네…”  손실보다 더 아픈 건 같은 실수를 반복 하는 순간이었어요. 저는 승률을 높여보겠다며 지표와 도구만 바꿨죠. 그런데 성과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바뀐 건 차트와 버튼뿐, 의사결정의 기록 은 없었거든요. 그 후로 저는 수익보다 먼저 기록의 품질 을 올렸습니다. 결과는 명확했어요. 손실이 사라진 게 아니라, 이유가 보이기 시작 했죠. 이번 글은 그 과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오늘부터 그대로 따라 해도 무리가 없도록, 저널 설계→태깅 체계→자동 수집→월간 리포트→리스크 대시보드까지 순서대로 안내할게요. 왜 ‘체계적 기록’이 성과를 바꾸는가 재현성 : 같은 상황에서 같은 결정을 반복하게 만듭니다. 피드백 속도 : 무엇이 통하고 무엇이 누수인지 숫자로 보입니다. 감정 분리 : “무서워서 팔았다”를 “규칙 X 위반”으로 번역해줍니다. 중요 : 기록은 ‘사후 변명’이 아니라 실행 전·중·후 의 스냅샷입니다. 결론보다 과정이 남아야 개선이 가능합니다. 1) 저널 항목 설계(핵심 10) 날짜/시간/시장 (예: 2025-08-14, KOSPI) 전략/시그널 (예: 추세20일 돌파 & 거래대금 상위30%) 진입/청산 가격·수량 (수수료 포함) 계획 손절/익절 (R 단위) (예: -1.5R, +3R 절반) 실행 결과 (체결 지연·미체결 여부) 감정 한 줄 (두려움/욕심/지루함 등) 실수/교훈 (규칙 위반, 과잉 확신 등) 보유기간/슬리피지 비고 (이벤트/공시/거시 일정) 태그 (아래 체계 참조) 예시(요약): 2025-08-14 | 전략: 추세20D | 진입 65,000(2R) | 손절 -1.5R | 익절 +3R 50% 실행...

투자 시스템, 성공 투자자의 필수 도구

이미지
"수익이 나도 마음이 불안하고, 손실이 나면 계획이 사라진다"—많은 개인 투자자가 겪는 공통된 장면입니다. 문제는 '지식'보다 일관성 에 있고, 그 일관성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투자 시스템 입니다. 이 글에서는 투자 시스템의 개념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고, 핵심 구성 요소와 만들 때의 체크리스트를 순서대로 안내합니다. 복잡한 수식보다 현실적인 실행 에 초점을 맞춰 볼게요. 투자 시스템의 한 문장 정의 투자 시스템 은 사전에 정한 규칙 에 따라 위험을 통제 하면서 반복 가능한 의사결정 을 하도록 돕는 프로세스 세트 입니다. 감정이 강하게 작용하는 순간에도 같은 품질의 결정을 내리게 만드는 장치죠. 핵심 구성 요소 6가지 목표와 제약 : 연간 기대수익률·허용 최대 낙폭(DD)·투입 가능한 시간/자본을 명시. 우주(Universe) : 거래 대상(지수·섹터·개별주·채권·현금·대체자산)과 제외 기준을 정의. 시그널 규칙 : 진입/추가/청산 조건을 if-then 문장으로 문서화. 포지션 사이징 : 종목당 위험(R)과 총 노출 한도. 예) 계좌 대비 1R=1% 손실, 동시 보유 5종목 이내. 실행과 비용 : 체결 방식(시장가/지정가), 수수료·세금 고려, 재밸런싱 주기. 기록과 리뷰 : 거래 저널, 주간/월간 리포트, 규칙 수정 절차(변경은 장외에서 만). 왜 시스템이 필요한가 감정 완충 : 공포/탐욕이 극대화될 때도 규칙이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재현 가능성 : 운이 아닌 프로세스 로 결과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일관성 : 계좌 규모와 변동성에 맞춰 위험을 표준화합니다. 학습 속도 향상 : 기록-피드백-개선의 루프가 돌아갑니다. 가상의 사례: 두 투자자의 30일 A 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