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내 자산은 어디에 얼마나 분산되어 있나?

 "내가 가진 자산이 정확히 얼마인지 아세요?"

많은 분들이 이 질문에
“글쎄요… 예금 좀 있고, 펀드도 있고… 대충요.”
라고 대답하곤 합니다.

하지만 자산 설계는 수치에서 출발합니다.
정확히 얼마가 어디에 있고,
어떤 구조로 굴러가고 있는지 모르면
투자든 저축이든 전략을 짤 수 없습니다.

오늘은 지금 내 자산을 한눈에 점검하는
가장 현실적이고 쉬운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왜 자산 현황 점검이 중요한가?

  1. 무엇이 과하고, 무엇이 부족한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수익률이 낮은 자산을 걸러낼 수 있습니다.

  3. 리스크가 치우친 구조를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4. 이후의 목표 설계 및 투자 전략 수립이 쉬워집니다.


실전 점검 3단계

✅ 1단계: 자산을 4가지로 분류

구분 내용
현금성 자산 예금, 적금, CMA, 비상금 통장
투자성 자산 주식, ETF, 펀드, 연금, 암호화폐
부동산성 자산 전세보증금, 상가, 토지, 주택
기타 자산 자동차, 귀금속, 미술품, 퇴직금 등

✅ 2단계: 비율로 정리해보기

  • 전체 자산 중

    • 현금성: 20%

    • 투자성: 40%

    • 부동산: 30%

    • 기타: 10%

🎯 이처럼 수치를 적어보면
→ ‘내가 투자에 너무 몰려 있구나’,
→ ‘비상금이 너무 부족한데?’
같은 현실적인 인식이 생깁니다.


✅ 3단계: ‘내가 원하는 구조’와 비교하기

💬 예를 들어, 내가 추구하는 자산 구조는…

  • 안정형: 현금 30% / 투자 30% / 부동산 30% / 기타 10%

  • 공격형: 현금 10% / 투자 60% / 부동산 20% / 기타 10%

👉 현재 내 자산 분포가
👉 나의 재무 성향과 맞는지 비교해 보세요.


실전 팁

  • 엑셀 또는 구글 시트로 한눈에 관리

  • 자산 점검은 최소 분기 1회, 많게는 매달

  • 변화가 생기면 즉시 업데이트


마무리하며

자산 설계는 멀리 있는 금융 전문가가 아닌,
바로 나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습니다.

단, 그 시작은
**“내가 지금 무엇을 갖고 있는지 아는 것”**입니다.

👉 오늘 30분 시간을 내서,
👉 내 자산을 항목별로 정리해보세요.
👉 다음 계획은, 그 위에 세우면 됩니다.


다음 글 예고

[나만의 투자 리포트 쓰기 – 포트폴리오 추적 관리]
내가 투자한 자산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기록하고 분석하는 ‘투자 리포트’ 만드는 법을
다음 글에서 안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