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비도 돌려받는다? 의료비 세액공제 조건 완전 정리
“치과 진료받고 30만 원 썼는데, 이거 돌려받을 수 있나요?”
“아이 병원비가 생각보다 많이 나왔는데, 연말정산에 적용되나요?”
👉 답은 YES!
연말정산에서 의료비도 환급 대상이 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병원비를 썼다고 해서
무조건 공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공제 대상, 조건, 한도, 제외 항목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비 공제는 어떤 방식인가요?
-
세액공제 항목에 해당합니다.
-
총급여의 3%를 초과한 의료비에 대해
→ 공제율 15%로 세금 환급
📌 예시
총급여: 5,000만 원
3% = 150만 원
연간 의료비: 300만 원 사용 시
→ 150만 원이 공제 대상
→ 환급액 = 150만 원 × 15% = 22만 5천 원
공제 대상자 범위
✔ 본인
✔ 배우자
✔ 직계존비속(부모님, 자녀)
✔ 형제자매(생계를 같이 하면 가능)
단, 부양가족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의료비 세액공제 정리표
항목 | 공제 여부 | 비고 |
---|---|---|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 O | 병·의원, 한의원, 약국 등 |
비급여(치과, 안과 포함) | O | 틀니, 라식, 도수치료 등 포함 |
성형수술 | X | 미용 목적은 제외 |
건강검진 비용 | O | 검진 후 실제 진료로 이어진 경우 |
실전 팁
✔ 병원에서 현금영수증 요청 필수
✔ 실손보험에서 환급받은 금액은 제외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누락된 병원비는 직접 등록 가능
마무리하며
의료비는 갑작스럽게 지출되지만,
잘 챙기면 세금으로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 항목입니다.
✔ 가족이 병원에 자주 다녔다면,
✔ 큰 병원비 지출이 있었다면,
올해 연말정산에서 의료비 공제를 꼭 확인하세요.
다음 글 예고
[교육비, 기부금 공제 가능할까? 놓치기 쉬운 항목 모음]
아이 교육비, 대학 등록금, 피아노 학원비…
기부금 영수증도 모아두긴 했는데 적용될까요?
다음 글에서는
✔ 교육비 세액공제 기준
✔ 기부금 종류별 공제율
✔ 증빙 서류 준비법까지
정확하고 실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