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기별 점검으로 흔들리지 않는 투자 만들기
"매달 점검은 했는데, 자산 비중이 흐트러지는 건 어쩔 수 없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분기마다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중을 다시 맞추는 루틴을 만들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왜 분기 리밸런싱이 중요한지, 어떻게 실천하면 좋은지, 간단한 계산법까지 모두 안내드립니다.
① 왜 분기 리밸런싱이 필요한가?
시간이 지나면 일부 자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거나 떨어집니다.
- ⬆️ 특정 자산 과도 증가 → 위험 집중
- ⬇️ 특정 자산 과도 감소 → 수익 기회 상실
- ✅ 분기마다 원래 목표 비중으로 조정하면, 위험과 기회를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② 분기 리밸런싱 실천 루틴과 계산법
아래 표와 수식을 따라 하면 쉽게 비중 조정 루틴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항목 | 목표 비중 | 현재 비중 | 조정 금액 |
---|---|---|---|
현금 | 20% | 25% | –5% × 총자산 |
채권 | 30% | 28% | +2% × 총자산 |
주식 | 40% | 35% | +5% × 총자산 |
대체자산 | 10% | 12% | –2% × 총자산 |
계산법: 조정 금액 = (현재 비중 – 목표 비중) × 총자산
※ 음수면 매도, 양수면 매수 방향으로 실행합니다.
③ 리밸런싱 주기와 전략 팁
- 📆 분기별 (3개월마다) 리밸런싱이 가장 실용적입니다.
- 🔔 ±5% 이상 벗어나면 즉시 리밸런싱을 고려해보세요.
- 🧭 수수료 낮은 상품 중심 사용: ETF·펀드 위주로 구성
- 📊 리밸런싱 기록 남기기: 내역과 이유를 간단히 기록해 관리합니다.
마무리하며: 리밸런싱 없이는 균형도 없습니다
분기 리밸런싱을 실행하면, 자산 비중이 흐트러지지 않고 목표 궤도에 머물게 됩니다.
월간 점검에서 흐름을 보기 시작했다면, 분기마다 리밸런싱으로 비중을 바로잡는 루틴을 꼭 실천해보세요. 흔들리던 포트폴리오가 안정으로 바뀝니다.
📌 다음 이야기 미리 보기: 개인 자산 현황 보고서 쉽게 작성하기
분기 리밸런싱을 했으면, 자산 상태를 정리하는 보고서 작성법도 알아야죠.
다음 글에서는 간단 리포트 양식, 시각화 팁, 가족·파트너 공유 방식까지, ‘자산 상태 보고서 작성법’을 단계별로 안내해드립니다.
👉 다음 회차 포스트도 기대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