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자산, 너무 주식에 몰려 있진 않을까?
최근 몇 년 동안 주식 수익률이 높아지면서, 저 역시 ‘좀 더 담을까?’ 하는 유혹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문득, 제 자산 현황표를 들여다보니 70% 이상이 주식에 몰려 있더군요.
그 순간 깨달았습니다. 수익률이 아닌, 리스크가 문제라는 걸요.
📌 당신의 자산은 어떤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아래 항목 중 몇 개나 해당되시나요?
- 📈 주식 비중이 전체 금융 자산의 60% 이상이다
- 💰 예금·현금성 자산은 급한 상황을 대비하기엔 부족하다
- 🏠 부동산 외 금융 자산이 주식에만 치우쳐 있다
- 📉 주가 하락 시 전체 자산에 큰 충격이 온다
3개 이상 해당된다면, 지금이 바로 포트폴리오를 점검할 시점입니다.
📊 자산 분산의 기본 원칙: 수익률보다 생존성
주식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더라도, 단기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모든 자산을 주식에 쏟는 건 리스크가 큽니다.
자산 분산의 대표적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 현금성 자산 (예금·비상금): 최소 6개월치 생활비
- 📊 주식형 자산: 나이에 따라 30~60%
- 🏦 채권/정기예금: 안정성 확보를 위한 수단
- 🏠 부동산 (보유 시): 금융 자산 비중 고려 후 조정
포트폴리오는 ‘평균 수익률’이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의 복원력을 기준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 구글 시트로 자산 분포 진단하는 법
자산 비중을 직접 시각화하면, 한쪽에 쏠려 있는 구조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시:
자산 항목 | 금액 | 비중(%) |
---|---|---|
주식 | 70,000,000 | 68% |
예금/현금 | 15,000,000 | 14% |
채권/ETF | 10,000,000 | 10% |
기타 (연금, P2P 등) | 8,000,000 | 8% |
▶ 이처럼 표나 파이 차트를 통해 자산이 어떻게 배분되어 있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보세요.
💬 마무리하며
자산이 특정 자산군에 몰려 있다는 건, 상승장에서 기회가 크지만, 하락장에선 회복이 더디다는 의미입니다.
이번 주말엔 내 자산 구성을 진단해보고, 필요하다면 리밸런싱 전략을 실행해보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위험은 줄이고 수익은 유지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소개할게요. 실제 자산 구조 조정 방법까지 함께 준비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