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위험은 줄이고 수익은 유지하는 포트폴리오 전략

“수익을 내면서도 안전할 수 있을까?” 

가능합니다. 핵심은 쏠림을 줄이는 규칙을 숫자로 고정하고, 지치지 않고 반복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주식 비중을 과도하게 낮추지 않으면서도 낙폭을 관리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정리합니다.


1) 먼저 ‘가드레일’부터 숫자로 잠그기

  • 현금 버퍼: 계좌가치의 10~15%
  • 연 변동성 목표: 8~12%
  • MDD(최대낙폭) 상한: -12%
  • 월 회전율 상한: ≤ 100%

이 네 가지 수치가 수익을 지키는 울타리가 됩니다.


2) 위험 수준별 모델 포트폴리오(예시)

모델 국내주식 해외주식 채권 현금
보수형 15% 15% 50% 20%
중립형 25% 25% 30% 20%
성장형 30% 35% 20% 15%

시작은 중립형을 권장합니다. 이후 생활비/심리적 여유에 따라 상하로 5%p 단위 조정하세요.


3) ‘밴드’와 ‘노출 캡’으로 쏠림 제어

  • 리밸런싱 밴드(상대): ±20% — 자산별 편차율이 목표 대비 20% 넘을 때만 조정
  • 노출 캡: 주식 합산 ≤ 55%, 상관계수 0.8↑ 쌍 합산 ≤ 25%, 섹터 상한(주식 내) ≤ 20%
  • 실행 시간: 화·금 21:00 — 장중 변경 금지


4) 리밸런싱 계산 예(드리프트 기반)

자산 목표w 현재w 편차율 (현재-목표)/목표 조정액(예: 계좌 5천만)
국내주식 25% 30% +20% -250만원
채권 30% 26% -13.3% +200만원
현금 20% 19% -5% +50만원

규칙: |편차율| > 20%인 자산만 조정하고, 1회 이동량은 ≤ 3%p로 제한합니다.


5) 낙폭을 줄이는 2가지 스위치

  • 손실 중단선: 누적 손익 ≤ -3R → 신규 매수 중단, 현금 +5%p
  • 변동성 스위치: 20일 포트 변동성 > 12% → 주식 -3%p · 채권/현금 +3%p (1주 유지)

두 스위치만으로도 급락기에 하방 리스크를 유의미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6) 실행 루틴(플랫폼 무관)

  1. 목표 비중·밴드·노출 캡을 시트에 고정
  2. 화·금 21:00에 드리프트 확인 → 해당자산만 조정
  3. 미체결률 > 10%면 지정가 분할, 유동성 높으면 시장가/조건부
  4. 월 1회 비용·회전율·경보 총량 점검(≤ 10건/일, 조치율 ≥ 70%)


7) 스프레드시트 구조(복붙)

컬럼: 자산 | 목표w | 현재w | drift=(현재-목표)/목표 | 밴드 | 주식합산 | corr25 | 변동성 | 회전율 | 비용 | 누적R | 조치
자동 규칙:
- ABS(drift) > 밴드 → 조정액=계좌×(목표-현재), 단 max_step ≤ 3%p
- 주식합산 > 55% OR corr25 > 25% → 증액 금지(감축만)
- 변동성 > 12% OR 누적R ≤ -3 → 보수 모드 전환
- 월 회전율 > 100% → 밴드 +5%p


8) 자주 묻는 질문

Q. 밴드를 ±10/±20/±30% 중 무엇으로?
초기엔 ±20%가 균형적입니다. 알림이 과다면 ±25%, 과소면 ±15%로 조정하세요.

Q. 현금을 10~15%로 유지하는 이유?
급락기 매수 여력 확보와 비상 지출 대응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하한선입니다.


마무리

수익을 지키는 길은 ‘더 공격적’이 아니라 더 규칙적인 것입니다. 오늘은 목표 비중·밴드±20%·주식≤55%·변동성 12%·-3R을 시트에 고정해 보세요. 내려갈 때 덜 잃고, 오를 때는 놓치지 않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 교육용 정보이며 특정 상품 권유가 아닙니다. 수수료·세율·앱 기능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매월 자동 리밸런싱 루틴을 만드는 과정을 안내합니다. 코딩 없이도 가능한 시트/알림 조합부터, 브로커 연동형 자동화까지 단계별로 정리합니다.

  • 🗓️ 리밸런싱 주기 선택: 월 1회 vs 주 2회
  • 🔔 드리프트·노출 캡 자동 알림(≤ 10건/일)
  • 📊 구글 시트 > 앱스 스크립트 알림 예시
  • 🛒 주문 정책: max_step 3%p, 저유동 종목 분할

“정해진 시간에, 필요한 것만” 움직이도록 설계하면 수익은 지키고 리스크는 낮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