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 전과 지금, 나는 돈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심리·행동·관계·정체감 전/후 비교

같은 소득, 같은 시장이라도 돈을 바라보는 태도가 바뀌면 결과가 달라집니다. 오늘은 12주 전과 지금의 나를 심리·행동·관계·정체감 4축으로 비교하고, 숫자와 문장으로 스스로를 해석해 봅니다. 목표는 단순합니다. 다음 12주에 무엇을 유지·수정·삭제할지를 결정하는 것.


1) 4축 프레임 — 전/후 비교 개요

지표12주 전지금변화(Δ)목표선
심리 불안(1~10) / 통제감(1~10) __ / ____ / __=C2-D2, =C3-D3 불안 ≤ 3, 통제감 ≥ 7
행동 PMT 달성률 / 드리프트MAX __% / __%__% / __%=C4-D4, =C5-D5 PMT ≥ 100%, 드리프트 ≤ 20%
관계 가족 미팅 / 갈등 빈도 __회 / __건__회 / __건=D6-B6, =B7-D7 월 1회+, 갈등 20%↓
정체감 증거 누적(리포트·결정·쿨다운) __ / __ / ____ / __ / __증가/감소 월 3개 이상

가드레일: 현금 10~15%, 주식 합산 ≤ 55%, 드리프트 |편차| ≤ 20%, 1회 이동 ≤ 3%p.


2) 마인드셋 Δ 인덱스(MDI) — 변화의 크기를 0~100으로

정의: 심리(40)·행동(40)·관계(10)·정체감(10)의 가중 합을 100점 환산. 높을수록 12주 전 대비 긍정적 변화가 큼.

항목수식(예시)해석
심리(40) =MAX(0, (불안Δ*(-10) + 통제감Δ*10)) 불안↓·통제감↑에 가점
행동(40) =MAX(0, (PMTΔ*50) + ((0.2-드리프트Δ)*100)) PMT↑, 드리프트↓ 우대
관계(10) =MIN(10, 가정미팅Δ*3 + 갈등Δ*(-2)) 대화↑·갈등↓
정체감(10) =MIN(10, 증거항목증가수) 증거 누적
MDI(0~100) =심리40+행동40+관계10+정체감10 70 이상이면 안정적 개선


3) 구글 시트 블록(전/후 입력 → 자동 계산)

라벨값/수식메모
B2불안(전)1~10낮을수록 좋음
C2불안(후)1~10
B3통제감(전)1~10높을수록 좋음
C3통제감(후)1~10
B4PMT%(전)0~1.2
C4PMT%(후)0~1.2
B5DriftMAX(전)0~1
C5DriftMAX(후)0~1
D2불안Δ=B2-C2양수면 개선
D3통제감Δ=C3-B3
D4PMTΔ=C4-B4
D5DriftΔ=B5-C5양수면 개선
B7가족미팅Δ후-전
B8갈등Δ전-후감소가 +
B10정체감증거증가 개수보고/결정/쿨다운
B12MDI=MAX(0,(D2*(-10)+D3*10)) + MAX(0,(D4*50)+((0.2-D5)*100)) + MIN(10,B7*3+B8*(-2)) + MIN(10,B10)0~100

조건부 서식: MDI ≥ 70 🟢 / 50~69 🟡 / < 50 🔴.


4) 시각화 — 레이더·워터폴·언더워터

  1. 레이더(4축): 불안 역수(10-값), 통제감, PMT%, 1-DriftMAX → 전/후 2개 시리즈.
  2. 워터폴: 잔고 변화 = 누적납입 + 누적수익 → 전/후 비교.
  3. 언더워터: 드로다운 곡선을 전/후 12주 창으로 겹쳐 보기.


5) 해석을 돕는 저널 프롬프트(3문장 규칙)

  • 데이터: “가장 큰 개선/악화는 —— 였다.”
  • 원인: “그 변화는 —— 때문에 생겼다.”
  • 행동: “다음 12주에 유지/수정/삭제할 것은 —— 이다.”


6) 유지·수정·삭제(K/C/S) 체크리스트

분류항목근거(지표)다음 12주 계획
Keep금 21:00 결정 3개PMT% ≥ 1.0 유지로그 캡처 자동화
Change현금 버퍼10% 미만신규 납입은 현금성 우선
Stop야간 쇼핑앱감정지출 스파이크푸시 OFF & 24h 룰


7) 인쇄용 한 장(12주 전/후 비교표)

[심리] 불안 __→__ (≤3) | 통제감 __→__ (≥7)
[행동] PMT __%→__% (≥100) | DriftMAX __%→__% (≤20)
[관계] 가족미팅 __→__ /월 | 갈등 __→__ /월
[정체감] 보고 □□□ | 결정 □□□ | 쿨다운 □□
[MDI] ____ /100  |  [결정 3개] ① 유지 ______ ② 수정 ______ ③ 삭제 ______


FAQ

  • Q. 소득 변화가 없어도 의미가 있나요?
    A. 예. MDI는 태도와 실행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동일 소득에서도 통제감·루틴이 좋아지면 결과가 따라옵니다.
  • Q. 수치가 낮게 나왔습니다. 어디부터 손볼까요?
    A. PMT → 현금 → 드리프트 순서로 정렬하세요. 분기당 레버는 1개만.

마무리 — 돈에 대한 태도는 측정할 때 바뀝니다. 오늘 시트를 채우고 레이더/워터폴을 만든 뒤, K/C/S로 다음 12주를 설계하세요. 목표는 완벽이 아니라 연속성입니다.

※ 교육용 일반 정보입니다. 상품·세율·수수료·약관은 각 기관 최신 공지를 확인하세요.


🔜 다음 글 예고 | 나는 왜 이 소비를 했는가?

  • 트리거 해부: 시간·장소·감정·동반자 요인 분해
  • 지출 메타데이터: 메모·태그·감정 스케일(1~5)
  • 충동 차단: 24h 룰·푸시 OFF·결제 마찰 설계
  • 대체 보상: 2분 MVR & 습관 스위치

다음 편에서 ‘지출 원인 로그’ 시트와 자동 리마인더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