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구글시트인 게시물 표시

이제는 결과를 측정할 때 — 분기 성과 대시보드·OKR·PDF 리포트 자동화

이미지
계획은 많지만 숫자가 없으면 다음 달 행동이 흐립니다. 이제 측정 의 차례입니다. 오늘은 분기마다 쓰는 1페이지 성과 대시보드 와 OKR(목표·핵심결과) , 데이터 동결 규칙 , PDF 자동 리포트 까지 한 번에 세팅합니다. 원칙은 간단합니다. 동결 → 측정 → 결론 → 공유 . 1) 데이터 동결 규칙(분기 리뷰 전 24시간) 동결 시점 : 분기 마지막 금요일 21:00 체결가 기준 허용 : 평가 업데이트·수수료 반영·입출금 정리(설명 메모 필수) 금지 : 동결 이후 신규 거래(리뷰 완료 전) 산출물 : 1페이지 대시보드(PDF), 3문장 코멘트 2) 분기 대시보드 레이아웃(1페이지) 블록 지표/내용 목표 실적 판정 Scoreboard CAGR(연환산), TWR, 변동성(연), MDD, 총비용률, 회전율 예: CAGR 4~6%, 변동성 ≤ 지수, MDD ≥ -15% 수치 자동 집계 🟢/🟡/🔴 구조 신호등 주식합산, 현금버퍼, 드리프트MAX ≤55%, 10~15%, ≤20% 현재 비중·편차 이탈 시 리밸런싱 후보 현금흐름 저축률, 이자/가처분, 고정비 비중 ≥20%, ≤25%, ≤50% 분기 평균 조정 필요 표시 결정 로그 이번 분기 결정 3개 이내 숫자(금액·비중·기한)...

나의 투자/소비, 점검하고 수정하기 — 월 30분 리뷰·KPI 6종·소비 컷 전략

이미지
성과가 좋아도 숫자로 확인 하지 않으면 다음 달 행동이 흔들립니다. 오늘은 월 30분 으로 끝내는 투자 KPI 6종 리뷰 와 소비 리포트 , 그리고 결과에 따라 바꾸는 IF–THEN 수정 규칙 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원칙은 간단합니다. 보고(10) → 결정(10) → 기록(10) . 1) 월 30분 리뷰 — 10·10·10 진행표 보고 10’ : KPI 6종 & 신호등(주식≤55%·현금 10~15%·드리프트≤20%) 결정 10’: 숫자로 결론(금액·비중·기한), 결정 3개 이내 기록 10’: 로그 작성 → PDF 저장 → 가족/본인 메일 공유(보기 전용) 2) 투자 KPI 6종(구글 시트 예시 수식 포함) KPI 의미 권장 범위/기준 시트 계산 예시 CAGR 연복리 수익률(입출금 영향 無 가정) 목표 대비 추세 확인 =POWER(종가/시작가, 1/연수)-1 TWR 현금흐름 중립 수익률(입출금 多일 때) 월 수익률이 안정적으로 +이면 OK =PRODUCT(1+월수익률범위)-1 변동성 월 수익률의 표준편차(연환산) ≤ 동급 지수 수준 =STDEV.P(월수익률)*SQRT(12) MDD 최대낙폭(사이클 중 최대 하락률) 낙폭의 속도·깊이 모니터 누적곡선/최고가 대비 하락률의 MIN ...

10년 후 자산 목표, 지금부터 시뮬레이션! — 구글 시트 템플릿·민감도 표·가드레일

이미지
“10년 뒤 얼마를 모아야 안심할까?” 숫자로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시뮬레이션 입니다. 오늘은 현재 자산·월 저축·기대수익률·물가·수수료를 넣으면 명확한 금액 이 나오는 구글 시트 수식 과 보수/중립/공격 3시나리오 , 민감도 표 를 한 번에 세팅합니다. 마지막엔 실패를 줄이는 가드레일(현금 10~15%, 주식≤55%, 드리프트≤20%) 도 적용합니다. 1) 입력값 6개만 준비하세요 항목 설명 예시 현재 순자산 투자 가능 금액(부채 차감) ₩120,000,000 월 저축액 매월 추가 납입 ₩1,000,000 연 기대수익률 세전·총수익률(보수/중립/공격) 3% / 5% / 7% 연 총비용률 펀드보수·거래비용 등 0.4%p 연 물가상승률 실질가치 환산용 2.0% 기간(년) 목표까지 남은 시간 10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시트에 아래 표를 그대로 만들고 B열 에 값을 입력하세요. 연 수익률과 비용률은 순수익률 = 수익률 − 비용률 로 계산합니다. 셀 라벨 값/수식 A2 현재 순자산 A3 월 저축액 A4 연 기대수익률 A5 연 총비용률 A6 연 물가상승률 A7 기간(년) 아래는 수식(해당 셀에 그대로 붙여넣기) B8 연 순 수익률 =B4-B5 B9 월 순수익률 =(1+B8)^(1/12)-1 B10 월 수(전체) =12*B7 B11 미래가치(명목) =FV(B9,B10,-B3,-B2) ...

작은 습관이 큰 자산을 만든다 — 3·10·90 규칙과 체크리스트

이미지
자산을 바꾸는 건 ‘한 번의 대박’이 아니라 작고 반복 가능한 습관 입니다. 오늘은 복잡한 전략 대신, 누구나 바로 따라 할 수 있는 3·10·90 규칙 과 체크리스트를 공유합니다. 원칙은 간단합니다. 아침에는 점검만 , 저녁에 필요한 것만 , 분기엔 한 가지만 바꾸기. 1) 왜 작은 습관인가 — 복리의 속도는 ‘지속’에서 나온다 📈 데이터 축적 : 매일 3분 기록이 모여 월간·분기 KPI로 이어집니다. 🧠 심리 안정 : 정해진 시간·정해진 절차는 충동을 줄입니다. 💸 비용 절감 : 흔들릴 때마다 거래하지 않으니 수수료·세금이 줄어듭니다. 결론: “크게, 가끔”이 아니라 “작게, 자주” 가 장기 성과를 지킵니다. 2) 3·10·90 규칙(핵심 루틴) 주기 시간 내용 산출물 매일 3분(아침) 신호등 3개 확인(주식합산≤55%, 현금 10~15%, 드리프트MAX≤20%) 3문장 모닝 코멘트 주 1~2회 10분(저녁) 밴드 이탈 자산만 조정, 1회 이동 ≤ 3%p(화/금 21:00) 거래 메모(예상 비용·액션) 분기 90분 KPI 6종(CAGR·TWR·변동성·MDD·비용·회전율) 리뷰 → 한 가지만 변경 전략서 v1.x 업데이트 3) ‘아침 3분’ & ‘저녁 10분’ 체크리스트(복붙) 상황 확인 기준 조치 아침 3분 주식합산/현금/드리프트MAX ≤55% / 10~15% / ≤20% 이탈 시 ‘저녁 실행 창구’에 메모만 저녁 10분(화/금 21:0...

맞춤형 전략서로 내 자산 운용 설계 완성 — 한 장 문서로 목표·규칙·루틴 고정

이미지
투자 규칙을 머릿속에만 두면, 바쁜 날엔 감정이 규칙을 이깁니다. 저는 몇 번의 실수를 겪은 뒤, 한 장짜리 전략서 를 만들었습니다. 목표, 비중, 알림, 위기 대처까지 모두 숫자로 고정하니, 결정이 빨라지고 흔들림이 줄었습니다. 오늘은 여러분도 그대로 따라 쓸 수 있도록 맞춤형 전략서 의 구조와 작성법, 복붙 템플릿을 공유합니다. 1) 전략서는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역할 : 목표와 현실(소득·성향·자산)의 교집합 을 문서로 고정 효과 : 장중 충동 ↓, 장마감 후 루틴 ↑, 가족 커뮤니케이션 ↑ 원칙 : 길게 쓰지 않습니다. A4 한 장 , 표와 숫자 중심 2) 전략서 목차(한 장 레이아웃) 섹션 내용 작성 팁 목표 연/분기 목표, 필수 지표(CAGR·MDD·비용) “올해 CAGR ≥4%, MDD ≥-12%”처럼 수치화 모델 포트 국내/해외주식·채권·현금 목표 비중 코어–위성(예: 70:30)도 함께 명시 가드레일 주식합산·섹터·상관쌍·현금버퍼 상한/하한 “주식 ≤55%, 섹터 ≤20%, 현금 10~15%” 리밸런싱 밴드·주기·1회 이동 한도 “밴드 ±20%, 월1회, ≤3%p” 알림·기록 알림 시간, 3문장 코멘트 규칙 화/금 21:00, “무슨일→원인→액션” 위기 대처 3층 비상금, 현금화 순서, 보수 모드 쿨다운 24h·-3R 중단선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