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출 항목, 감정 소비와 고정비부터 구분하자

“이번 달엔 왜 또 마이너스지?” 저도 한동안 가계부를 써보면서도 도무지 절약이 되지 않아 답답했어요. 그러다 알게 된 건, 지출을 기록만 하고, 구분하지 않았다는 점 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출을 고정비, 변동비, 감정 소비 로 나누는 실전 기준과, 그걸 바탕으로 소비를 ‘조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고정비와 변동비를 구분하는 기준 지출은 일반적으로 다음처럼 나뉩니다. 구분 내용 예시 고정비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지출 월세, 보험료, 인터넷 요금, 정기 구독 변동비 생활에 따라 달라지는 지출 식비, 교통비, 병원비, 쇼핑 비정기 지출 불규칙하거나 큰 금액의 지출 명절, 여행, 가전 교체, 경조사 2. 감정 소비는 따로 기록해야 합니다 감정 소비는 꼭 ‘지름’이 아니더라도, 무의식 중에 반복되는 소비 습관 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배달앱을 열어 2만 원 이상 주문 오프라인 쇼핑몰을 ‘그냥 둘러보다’ 카드 긁기 불필요한 커피, 음료, 디저트 반복 구입 이런 감정 소비는 고정비나 변동비에 숨겨져 있어, 전체 소비를 왜곡시킵니다. 별도 컬러나 태그로 표시해두는 것 만으로도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3. 지출 구분을 위한 실전 루틴 📌 ① 모든 지출을 하루 단위 로 기록합니다 📌 ② 각 항목에 ‘고정’ / ‘변동’ / ‘감정’ / ‘비정기’ 라벨을 붙입니다 📌 ③ 한 달 후 지출 항목을 피벗테이블 또는 필터 로 정리합니다 📌 ④ 감정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