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갭분석인 게시물 표시

성공과 실패의 분기점은 어디였을까? — 꺾임·위험·실행이탈 감지와 사전 경고 시스템

이미지
성과가 갈리는 순간은 의외로 짧은 찰나 에 일어납니다. 수익곡선이 꺾였을 때, 변동성이 솟구쳤을 때, 혹은 자동이체 한 번이 누락됐을 때. 오늘은 지난 12주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기점(Inflection Point) 을 찾아내고, 그 직전에 울리는 사전 경고 와 복구 루틴 까지 연결합니다. 1) 분기점 3종 정의 — 꺾임 · 위험 급등 · 실행 이탈 유형 신호 임계 기준(권장) 의미 수익곡선 꺾임 최근 N기간 기울기 < 0 N=4~6주, SLOPE(잔고, 기간) < 0 추세 둔화/역전 위험 급등 드로다운·변동성 급증 DD ≤ -15% 또는 20일 변동성 ↑ 50%+ 리스크 관리 필요 실행 이탈 PMT/리밸런싱/현금 가드레일 위반 PMT < 0.8, 현금 < 10%, 주식 > 55%, 드리프트 > 20% 규칙 미준수 가드레일: 현금 10~15%, 주식 합산 ≤ 55%, 드리프트 |편차| ≤ 20%, 1회 이동 ≤ 3%p. 2) 수익곡선 × 행동 로그 겹쳐 보기(무엇이 원인이었나) Equity 라인 : 월/주 잔고( End Balance ) 라인 차트. 행동 마커 : PMT 보완, 리밸런싱, 구독 해지 등 이벤트를 세로선 ·아이콘으로 표시. 분기점 음영 : 임계치 충족 시 해당 구간 배경을 회색/빨강으로 음영 처리. 코멘트 : 각 음영 구간 상단에 “원인→조치→결과(Δ)” ...

계획과 실제의 차이를 점검하는 법 — 오차 표준화·원인 매핑·갭 리포트·자동화

이미지
계획은 가정 이고, 실제는 데이터 입니다. 둘의 차이를 감정이 아니라 표준화된 숫자 로 비교하면, 다음 행동이 또렷해집니다. 오늘은 오차를 %·금액·일수 로 표준화하고, PMT·기간·비용·위험 네 가지 레버로 원인을 매핑한 뒤, 갭 리포트 와 자동 메일 까지 세팅합니다. 1) 오차를 먼저 표준화하자(같은 언어로 비교) 오차 종류 정의 시트 수식(예) 권장 기준선 진행률 오차(%) 현재 잔고 vs 이번달 목표잔고 =ABS(현재잔고/이번달목표-1) ≤ 5% PMT 오차(금액) 필요 PMT 대비 실제 입금 부족분 =MAX(필요PMT-실제입금,0) 0원(보완 이체) 일정 오차(일) 계획일 vs 집행일 차이 =DATEDIF(계획일,집행일,"D") ≤ 3일 비용 오차(%p) 목표 총비용률 대비 실제 =실제비용률-목표비용률 ≤ 0.0%p(목표 0.6%p 이하) 위험 오차 가드레일 위반 정도 =MAX(0,주식합산-0.55,0.10-현금,드리프트MAX-0.20) 0(무위반)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 합산 ≤ 55% · 드리프트 |편차| ≤ 20% . 2) 원인-결과 매핑(갭 → 레버 → 행동) ...

무엇이 부족했고, 무엇을 더 해야 할까? — 갭 분석·레버 우선순위·30/60/90 실행 카드

이미지
“잘한 점은 유지하고, 부족한 점은 한 가지만 바꾼다.” 오늘은 지난 10주의 결과를 목표와 나란히 두고 갭(차이) 을 정의합니다. 원인을 구조(비중·현금) , 행동(회전율·쿨다운) , 비용(보수·세금) 으로 나눠 살피고, 영향×노력 매트릭스로 가성비 높은 레버 1개 를 골라 30/60/90 실행 카드로 연결합니다. 1) 한 장 요약: 3줄 갭 스테이트먼트 목표 vs 실제 : TWR +3.0% vs +2.1% (△0.9%p) 원인 후보 : 회전율 62%(목표 ≤50%), 드리프트MAX 21%(목표 ≤20%), 비용 0.58%p 핵심 레버 제안 : 회전율을 50%/월 이하로 낮춰 비용·슬리피지 동반 절감 2) 갭 분석 표(KPI·구조·현금흐름) 항목 목표선 실적 갭 리스크/메모 TWR(분기) ≥ +3.0% +2.1% -0.9%p 거래 빈도·비용 영향 변동성(연) 동급 지수 이하 9.1% ±0 허용 범위 MDD ≥ -15% 내 -6.4% +8.6%p 양호 총비용률 ≤ 0.6%p/년 0.58%p 근접 추가 절감余지 소폭 회전율(월) ≤ 50% 62% +12%p 슬리피지·세금 상승 주식 합산 ≤ 55% 52% - 적정 현금 버퍼 10~15% 12% - 적정 드리프트MAX ≤ 20% 21% +1%p 밴드 리밸런싱 1회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