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투자 중간 점검 루틴 – 수익률을 지켜주는 리밸런싱 전략
"10년 계획을 세웠는데도, 지금 내가 잘하고 있는 걸까?"
장기투자는 단기 수익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이 핵심이지만, 그렇다고 아예 무관심할 수도 없습니다. 저도 예전에는 투자만 하고 점검을 안 했더니, 어느 순간 ETF 비중이 너무 커져 버린 적이 있었어요.
그래서 저는 지금은 ‘분기별 점검 루틴’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쓰는 점검 루틴을 소개할게요.
1. 장기투자에서도 점검은 필수입니다
장기투자의 핵심은 일관성과 균형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특정 자산의 비중이 의도치 않게 커지거나 줄어들게 되죠.
그래서 최소 3개월에 한 번,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리밸런싱을 해야 합니다.
2. 분기별 점검 루틴 구성 예시
제가 사용하는 루틴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일정: 매 분기 마지막 주 일요일, 오전 10시
- 📊 확인 항목:
- 자산별 수익률 확인
- 목표 비중과 실제 비중 비교
- 현금 비중, 예비자금 상태 확인
- 🔄 리밸런싱 조건: 목표 비중과 ±5% 이상 차이 날 경우
3. 자산 점검표 예시
아래는 실제 점검표 예시입니다. (단위: 원)
항목 | 현재 금액 | 목표 비중 | 현재 비중 |
---|---|---|---|
국내 ETF | 5,000,000 | 40% | 44% |
해외 ETF | 4,000,000 | 40% | 35% |
현금 | 1,000,000 | 20% | 21% |
이 표를 기준으로 리밸런싱 여부를 결정합니다.
4. 리밸런싱 후 꼭 해야 할 일
- 💾 기록 남기기: 어떤 자산을 얼마만큼 매도/매수했는지 기록
- 📈 다음 점검 일정 확정: 다음 분기 점검 날짜 캘린더에 등록
- 💬 간단한 투자 일지 작성: 시장 상황과 내 심리 상태도 함께 정리
✅ 마무리하며
장기투자의 핵심은 ‘버티는 힘’이지만, 그 안에 ‘유지하고 조정하는 습관’이 함께해야 합니다.
정기 점검 루틴을 만든다면, 당신의 장기투자는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이번 분기의 포트폴리오 상태를 점검해보세요!
📌 다음 포스트 예고: 시장 사이클 이해와 대응법
다음 글에서는 상승장, 하락장, 조정장 등 다양한 시장 사이클의 특징과 그에 맞는 투자 대응 전략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