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현금흐름표로 진짜 좋은 기업 찾는 법 – 투자 고수가 보는 지표

“흑자 기업인데 왜 부도가 났죠?”

이 질문이야말로 투자자라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입니다. 손익계산서상 이익이 난다고 해서, 그 회사가 실제 돈을 벌고 있는 건 아니니까요.

이번 글에서는 현금흐름표를 통해 진짜 돈을 잘 벌고, 잘 굴리고 있는 기업을 고르는 법을 소개합니다. 숫자의 ‘흐름’을 읽는 순간, 투자 관점이 완전히 달라질 겁니다.

1. 현금흐름표란 무엇인가?

현금흐름표는 말 그대로 ‘현금의 이동’을 기록한 표입니다. 아무리 회계상 이익이 나더라도, 실제로 현금이 들어오지 않으면 기업은 굴러가지 않아요.

  • 영업활동현금흐름 (CFO) – 본업으로 벌어들인 현금
  • 투자활동현금흐름 (CFI) – 설비 투자, 인수 등 미래를 위한 지출
  • 재무활동현금흐름 (CFF) – 차입, 배당, 자본조달 등 관련 활동

2. 영업활동현금흐름이 플러스인가?

이 항목이 플러스라면, 회사가 본업으로 벌고 있는 상태입니다. 반대로, 영업이익은 흑자인데 CFO가 마이너스라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 3년 이상 꾸준히 영업활동현금흐름이 플러스인 기업이 투자에 유리합니다.
  • 흑자 기업인데도 CFO가 마이너스면 외상 매출 증가, 재고 누적 등을 의심할 수 있어요.

3. 투자활동현금흐름은 마이너스가 좋다?

맞습니다. 미래를 위해 설비 투자, 기술 확보 등을 진행하고 있다면 투자활동현금흐름이 마이너스여도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지출이 지속 가능한 CFO 기반에서 나왔는지 꼭 확인해야 해요.

4. 실전 예시로 보는 ‘건강한 현금흐름’

실제 우량 기업 A사의 최근 3년 현금흐름 항목입니다.

연도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2022 +1,200억 -800억 -300억
2023 +1,350억 -950억 -400억
2024 +1,500억 -1,000억 -500억

이 기업은 본업 수익이 꾸준히 증가하며, 투자와 배당에도 적극적이죠. 현금 흐름 삼박자가 안정적인, 교과서 같은 우량 기업입니다.

마무리하며

이제부터 재무제표를 볼 때, 손익계산서만 보지 마세요. 진짜 돈이 흐르는 길, 현금흐름표에 주목하세요.

돈이 실제로 어떻게 들어오고, 어디에 쓰이는지 이해하면 우량기업을 골라낼 수 있는 눈이 생깁니다.


📌 다음 글 예고: 고급 투자자가 꼭 보는 재무지표 TOP 5

ROE, 부채비율, FCF, 이자보상배율, 이익잉여금 등 상위 투자자들이 꼭 참고하는 핵심 재무지표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