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후 월 생활비, 얼마나 필요할까? — 바스켓·물가 환산·연금 반영·격차 계산표

은퇴 준비의 첫 질문은 “얼마가 필요할까?”입니다. 감(感)이 아니라 바스켓×물가×연금으로 숫자를 만들면 답이 명확해집니다. 오늘은 생활비를 필수·선택·의료로 나누고, 오늘가치→65세 명목으로 환산한 뒤, 연금 소득을 빼서 월 격차를 구하는 법을 정리합니다.


1) 생활비 바스켓 정의(필수·선택·의료)

  • 필수: 주거(월세·대출이자·관리비), 식비, 교통, 통신, 공공요금, 기본 보험
  • 선택: 외식·여행·취미·선물·구독(엔터)
  • 의료: 본인부담 의료·치과·안과·약제, 보장 공백을 메울 예비비


2) 오늘가치를 65세 명목으로 환산하는 법

기준 나이에서 65세까지 남은 연수를 Y, 연 물가를 i라 하면, 65세 명목 금액은 오늘가치 × (1+i)^Y 입니다.

항목기호시트 수식
남은 연수Y=65-현재나이
65세 명목(필수)필수65=필수오늘*(1+물가)^Y
65세 명목(선택)선택65=선택오늘*(1+물가)^Y
65세 명목(의료)의료65=의료오늘*(1+물가)^Y

예시(지표용): 오늘 합계 380만원, 현재 50세(→Y=15년)일 때 (1+2%)^15≈1.35, (1+3%)^15≈1.56, (1+4%)^15≈1.80.


3) 시나리오 예시 — 물가 가정에 따른 65세 월 생활비

가정(오늘)물가(연)남은 연수65세 명목 합계메모
필수 250만 / 선택 100만 / 의료 30만 2.0% 15년 ≈ 513만원/월 380만×1.35
동일 3.0% 15년 ≈ 592만원/월 380만×1.56
동일 4.0% 15년 ≈ 684만원/월 380만×1.80

수치는 예시(≈)입니다. 본인 값으로 시트에 대입해 환산하세요.


4) 연금 소득을 빼면 ‘월 격차’가 보입니다

연금(국민/퇴직/개인)의 오늘가치 월 수령액을 동일하게 65세 명목으로 환산하여 생활비에서 차감합니다.

항목시트 수식설명
연금65(명목) =연금오늘*(1+물가)^Y 공적·퇴직·개인 합산
월 격차 =MAX(생활비65합계-연금65,0) 추가로 메워야 할 금액


5) 필요한 자본과 월 적립액을 역산하기(PV/PMT)

  • 은퇴 순수익률(보수적)과 기간을 가정해 필요 자본 계산: PV
  • 은퇴 에는 월 적립액을 역산: PMT
라벨값/수식(구글 시트)
A2현재나이예: 50
A3은퇴나이예: 65
A4은퇴후기간(년)예: 30
A5물가(연)0.02
A6생활비(오늘)예: 3800000
A7연금(오늘)예: 1500000
A8은퇴전 연순(순)예: 0.047
A9은퇴후 연순(순)예: 0.036
A10현재 잔고예: 200000000
A11월 적립액(현재)예: 800000
B2Y(남은연수)=A3-A2
B3생활비65=A6*(1+A5)^B2
B4연금65=A7*(1+A5)^B2
B5월 격차=MAX(B3-B4,0)
C2r전/후(월)=(1+A8)^(1/12)-1 / =(1+A9)^(1/12)-1
C3개월 전/후=12*B2 / =12*A4
C4은퇴시자본(FV)=A10*(1+C2)^(12*B2)+FV(C2,12*B2,-A11,0)
C5필요자본(PV)=PV((1+A9)^(1/12)-1,12*A4,-B5,0)
C6자본 격차=C5-C4
C7필요 월 적립=ABS(PMT(C2,12*B2,-A10,C5,0))

팁: 연금은 기준으로 넣고, 수익률은 순수익률(수수료 차감)로 가정하세요.


6) 변동 큰 항목 두 가지: 주거비와 의료비

항목결정 포인트실행 팁
주거비 자가/전월세 여부, 대출 만기·금리 은퇴 5년 전부터 고정비 낮추기 프로젝트(갈아타기·상환·이사 시뮬)
의료비 보장 범위 공백, 본인부담 상한 월 생활비의 10~20%를 의료 예비로 가정하거나, 별도 의료 버킷 운영


7) 안전 마진: 완충률 & 유동성

  • 완충률: 계산된 생활비에 +10~20% 여유를 둡니다(변동성·오차 흡수).
  • 유동성: 현금성 3~5년치 필수지출을 안전 자산으로 확보(인출 시퀀스 리스크 완충).

가드레일: 현금 10~15%, 주식 합산 ≤ 55%, 드리프트 |편차| ≤ 20% — 이탈 자산만 1~3%p 조정(장 마감 후).

8) 인쇄용 한 장(65세 생활비 계산 체크리스트)

[오늘] 필수 ____만 / 선택 ____만 / 의료 ____만  → 합계 ____만
[환산] 남은연수 ____년 · 물가 ____% → 65세 명목 ____만/월
[연금] 오늘 ____만 → 65세 명목 ____만/월  → 월 격차 ____만
[자본] 필요자본(PV) ____원 / 은퇴시자본(FV) ____원 / 격차 ____원
[레버] 월납입 ____원(+10%?) · 기간 +__년 · 비용 __%p↓ · 위험 조정(가드레일)
[완충] 생활비 +__% / 현금성 3~5년치 필수지출 확보


9) 자주 묻는 질문

  • Q. “연 4% 인출”만 따르면 되나요?
    A. 단일 규칙은 개인 상황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오늘 표처럼 월 격차→PV로 개인화하세요.
  • Q. 물가가 계속 높으면요?
    A. 연 1회 생활비·연금의 오늘가치를 업데이트하고, 물가 가정을 조정해 재계산하세요.

마무리 — 65세 이후 생활비는 “지금”의 습관에서 결정됩니다. 오늘 시트를 만들어 바스켓을 채우고, 65세 명목으로 환산한 뒤, 연금과 비교해 월 격차를 명확히 하세요. 숫자가 보이면, 행동이 결정됩니다.

※ 교육용 일반 정보입니다. 연금 제도·세율·수수료·상품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 다음 글 예고 | 의료비 폭탄에 대비하는 보험과 예비자금

  • 보장 공백 점검: 실손/진단/수술/간병의 역할 분담
  • 의료 예비 버킷: 월 생활비의 10~20% 추가 가정과 적립 규칙
  • 대형 지출 트리거: 수술/입원/장기요양 시 인출 우선순위
  • 구글 시트: 청구/본인부담/예비자금 로그 템플릿

다음 편에서 보험 구성의 원칙과 예비자금 운영표를 제공합니다(상품 추천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