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대시보드인 게시물 표시

숫자로 보는 나의 자산 변화 시각화 — 스택에어리어·워터폴·언더워터·게이지·드리프트

이미지
“분명 저축하고 투자도 했는데, 왜 체감이 없지?” 해결은 시각화 입니다. 잔고의 곡선, 투입과 수익의 기여, 하락 폭, 목표 달성률, 비중 이탈까지 한 장에 모으면 다음 행동이 즉시 보입니다. 오늘은 구글 시트로 8종 핵심 차트 와 경고등 을 세팅해 숫자를 행동 으로 바꾸겠습니다. 1) 데이터 모델(Transactions → Summary) 원자료는 Transactions , 월말 집계는 Summary 에 구성합니다. 시트/열 라벨 예시/수식 설명 Transactions!A Date YYYY-MM-DD 거래일 Transactions!B Type IN/OUT/RETURN 입금/출금/평가손익 Transactions!C Amount 정수/소수 금액(+/-) Transactions!D Asset Cash/Stock/Bond… 자산군 Transactions!E Month =EOMONTH(A2,0) 월말 라벨 Summary 시트(월별 스냅샷): Summary!A Month 피벗 월별 라벨 Summary!B Inflow 피벗 합계 월 입금 Summary!C Outflow 피벗 합계 월 출금 Summary!D Return 피벗 합계 월 평가손익 Summary!E Net =B2-C2+D2 월 순증감 Summary!F Cum Inflow =SUM($B$2:B2) 누적 납입 Summary!G Cum Return =SUM($D$2:D2) 누적 수익 Summary!H End Balance =SUM($E$2:E2) 월말 잔고 Summary!I Peak =MAX($H$2:H2) 누적 고점 Sum...

돈과의 관계, 어떻게 달라졌는가? — 심리 지표·행동 로그·변곡점·주간 리추얼

이미지
숫자는 그대로인데 마음이 먼저 편해진 경험, 있으신가요? 지난 몇 달간 대시보드 , 가드레일 , 결정 3개 루틴을 꾸준히 돌리며 제 돈과의 관계는 ‘불안’에서 ‘통제감’으로 바뀌었습니다. 오늘은 그 변화를 감상이 아닌 지표 와 로그 로 기록해 보겠습니다. 1) 전/후 스냅샷 — 감정·행동·결과 항목 전(12주 전) 후(현재) 메모 감정 지출 알림이 울리면 불안 알림 보자마자 대시보드 확인 QR/위젯이 신호 역할 행동 즉흥 매수·매도 잦음 금 21:00 일괄 집행 쿨다운 규칙 유지 결과 현금 비중 8% 현금 12% (가드레일) 강제매도 위험↓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 합산 ≤ 55% , 드리프트 |편차| ≤ 20% . 2) 심리 지표 보드(0~5) — 불안→통제감 KPI 정의 0~5 척도 시트 수식/메모 불안도 돈 때문에 느끼는 걱정 5=매일 걱정 ↔ 0=거의 없음 =5-자기평가(0~5) 통제감 계획을 지키는 자신감 0=없음 ↔ 5=매우 높음 =자기평가(0~5) 명확성 목표·가정·규칙의 선명함 ...

이제는 결과를 측정할 때 — 분기 성과 대시보드·OKR·PDF 리포트 자동화

이미지
계획은 많지만 숫자가 없으면 다음 달 행동이 흐립니다. 이제 측정 의 차례입니다. 오늘은 분기마다 쓰는 1페이지 성과 대시보드 와 OKR(목표·핵심결과) , 데이터 동결 규칙 , PDF 자동 리포트 까지 한 번에 세팅합니다. 원칙은 간단합니다. 동결 → 측정 → 결론 → 공유 . 1) 데이터 동결 규칙(분기 리뷰 전 24시간) 동결 시점 : 분기 마지막 금요일 21:00 체결가 기준 허용 : 평가 업데이트·수수료 반영·입출금 정리(설명 메모 필수) 금지 : 동결 이후 신규 거래(리뷰 완료 전) 산출물 : 1페이지 대시보드(PDF), 3문장 코멘트 2) 분기 대시보드 레이아웃(1페이지) 블록 지표/내용 목표 실적 판정 Scoreboard CAGR(연환산), TWR, 변동성(연), MDD, 총비용률, 회전율 예: CAGR 4~6%, 변동성 ≤ 지수, MDD ≥ -15% 수치 자동 집계 🟢/🟡/🔴 구조 신호등 주식합산, 현금버퍼, 드리프트MAX ≤55%, 10~15%, ≤20% 현재 비중·편차 이탈 시 리밸런싱 후보 현금흐름 저축률, 이자/가처분, 고정비 비중 ≥20%, ≤25%, ≤50% 분기 평균 조정 필요 표시 결정 로그 이번 분기 결정 3개 이내 숫자(금액·비중·기한)...

리스크 발생 시 자동 알림 받는 방법

이미지
리스크는 예고 없이 옵니다. 특히 40~60대 소액·안전 투자자는 손실을 키우기 전에 멈추게 해주는 알림 이 필요합니다. 이 글은 손실 한도 · 노출 초과 · 데이터 오류 3종 경보를 기준으로, 수치 임계값→메시지 포맷→하루 5분 점검 까지 한 번에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1R=계좌가치의 0.5~1%로 정의) 1) 경보 설계 원칙(고정 규칙) 행동 연결 : 알림마다 권장 액션 이 문서화돼 있어야 합니다(예: “신규 매수 중지·현금 +5%p”). 알림 총량 : 일 최대 10건 . 초과하면 임계값/필터를 상향 조정. 시간대 : 장중엔 위험 알림만, 해석은 마감 후 21:00 로 제한(충동 매매 방지). 기록 : 모든 경보는 저널에 시간·근거·조치 3요소로 저장. 2) 핵심 경보 6개(권장 임계값) 분류 조건(임계값) 권장 액션 누적 손실 한도 누적 손익 ≤ -3R 신규 매수 중지, 현금 +5%p, 비중 재점검 일중 손실 금일 손익 ≤ -1.5R 해당 포지션 축소/전량 손절 주식 노출 초과 주식 합산 비중 > 55% 주식 -2~3%p, 채권/현금 +2~3%p 상관쌍 초과 상관 0.8↑ 상위쌍 합산 > 25% 고상관 종목 교체/감축 체결 품질 미체결률 > 10% 또는 평균 지연 > 30초 분할 지정가 전환, 주문량 축소 데이터 무결성 핵심 테이블 결측률 > 1% 또는 휴일 달력 불일치 리밸런싱·주문 일시 정지, 소스 점검 임계값은 시작점입니다. 알림 과다 시 0.5~1.0R 혹은 2~5%p 단위로 보수적으로 상향하세요. 3) 메시지 포맷(복붙 사용) [등급][분류][근거수치][권장 액션] 예) [긴급][누적손실][-3.2R 도달][신규매수 중지·현금 +5%p]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