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현금버퍼인 게시물 표시

유사시를 위한 3~6개월치 생활비 준비법 — 계산·계좌분리·자동이체·재충전 루틴

이미지
급락장, 해고, 예상치 못한 병원비. 현금 버퍼 가 있으면 위기는 비용이 아니라 시간 이 됩니다. 오늘은 필수지출 기준으로 3~6개월 비상자금을 계산하고, 계좌 분리·자동이체·인출 규칙 , 사용 후 재충전 루틴 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목표는 간단합니다. 언제든 3개월은 버틴다 . 1) 몇 개월을 준비할까? (상황별 권장치) 가구 유형 권장 개월 이유/메모 정규직 2인 소득 3~4개월 소득 다변화로 충격 분산 정규직 1인 + 부양가족 4~6개월 의존도 높음, 보수적 필요 프리랜서/자영업 6~9개월 소득 변동성 & 대금 지연 은퇴 전 과도기 9~12개월 시장 하락 시 인출 리스크 완충 가드레일과의 정합성: 총자산 중 현금은 10~15% 권장. 이 비중이 최소 3개월치 필수지출과 어긋나면, 개월 수 기준 을 우선합니다. 2) “필수지출” 먼저 정의하기(선택/감정 분리) 필수 : 주거(월세·대출이자·관리비), 식비, 교통, 통신, 교육 기본, 보험, 공공요금 선택 : 외식·여행·쇼핑·구독(엔터), 취미, 고가 소모품 감정 : 즉흥구매, 스트레스성 소비(24h 숙려) 3) 구글 시트 템플릿(복붙) 셀 라벨 값/수식 A2 주거 A3 식비 ...

현금성 자산, 중기 자산, 장기 자산 분리하기 — 3버킷 전략·자동이체 라우팅·리밸런싱 규칙

이미지
같은 1,000만원이라도 목적과 시점 이 다르면 놓일 자리가 달라집니다. 오늘은 자산을 현금성(0~3년) · 중기(3~7년) · 장기(7년+) 의 3버킷 으로 나누고, 자동이체 라우팅과 리밸런싱 규칙까지 한 번에 세팅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핵심은 간단합니다. 쓰일 돈은 가까이, 불릴 돈은 멀리 . 1) 3버킷 개요: 기간·목적·권장 운용 버킷 기간 주요 목적 권장 비중 예시 운용 범위(예시) 현금성 0~3년 비상금, 3년 내 지출(차·이사·교육 초기) 총자산의 10~15% 현금 유지 입출금/파킹형 계좌, CMA, MMF, 단기 국채·단기채 펀드(만기 1년↓) 중기 3~7년 내 집 마련 중도금, 교육·유학, 사업 준비 목표 시점에 맞춰 채권 40~60% · 주식 0~40% 중기 국채/회사채, 혼합형(밸런스드), 목표일 펀드 등 장기 7년+ 은퇴·장기 증식, 장기 교육자금 주식 35~55% · 채권 45~65% (가드레일) 광범위 분산 주식(국내·해외) + 투자등급 채권, 연금저축/ISA 등 가드레일(권장 기준선): 현금 10~15% , 주식 합산 ≤ 55% , 드리프트 |편차| ≤ 20% . 2) 목표를 버킷에 매핑하는 법(체크리스트) ① 언제 쓸 돈인가? → 0~3/3~7/7년+ ② 반드시 필요한가( M...

성공 투자자의 하루는 어떻게 시작될까? — 15분 모닝 프렙 & 저녁 실행 창구

이미지
성공한 투자자의 아침은 화려하지 않습니다. 대신 같은 순서 로 같은 점검을 반복합니다. 저는 “장중 추격”으로 손실을 키운 뒤, 아침을 예측의 시간 이 아니라 리스크와 습관을 정렬하는 시간 으로 바꿨습니다. 오늘은 제가 매일 쓰는 15분 모닝 프렙 과 저녁 실행 창구 루틴을 공유합니다. 1) 하루를 여는 한 문장 원칙 “아침에는 점검만, 거래는 장 마감 후.” 이 한 문장이 충동을 막아줍니다. 아침은 방향을 정리하고, 저녁에 필요한 것만 작게 움직입니다. 2) 모닝 대시보드 6칸(5분) 항목 기준 확인 포인트 상태 주식 합산 ≤ 55% 합계가 상한을 넘었는가? 🟢/🟡/🔴 현금 버퍼 10~15% 생활비 3~6개월 커버 가능한가? 🟢/🟡/🔴 드리프트MAX |편차| ≤ 20% 리밸런싱 후보가 있는가? 정상/조정 월 TWR 평균선 근처 과도한 이탈 신호? 정상/주의 비용·회전율 비용 ≤0.6%p/년 · 월 ≤100% 거래 과다 여부 정상/주의 위기 스위치 20d 변동성 >12% or 누적 ≤ -3R 보수 모드 전환 필요? ON/OFF ※ 수치는 학습용 권장값입니다. 가정 상황에 맞게 전략서에 고정해 사용하세요. 3) 알림함 ‘제로’...

예상치 못한 위기에 대비하는 재무 전략 — 3층 비상금·현금화 계획·90일 회복 로드맵

이미지
위기는 늘 “갑자기” 옵니다. 몇 년 전, 뜻밖의 병원비와 소득 공백이 겹치면서 저는 처음으로 돈의 방어력 이 무엇인지 절실히 배웠습니다. 그날 이후로 만든 것이 오늘 공유하는 위기 대응 플레이북 입니다. 길지 않습니다. 단지, 준비된 한 장 이면 충분합니다. 1) 먼저 ‘어떤 위기’를 상정할까? 💼 소득 공백 : 퇴직·휴직·거래처 지연 등으로 1~6개월 수입 감소 🧾 의료·돌발 지출 : 수술·수리·이사 등 고액 일시 지출 📉 시장 급락 : 보유 자산 가치 10~20% 이상 단기 하락 세 가지 중 두 개가 동시에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방어 장치는 겹겹이 준비합니다. 2) 3층 비상금 시스템(겹겹이 방어) 층 규모(권장) 수단 인출 규칙 ① 생활비 버퍼 3~6개월 생활비 보통예금/입출금 자유, 고위험 상품 금지 월 고정비 커버 전용, 투자 전용 금지 ② 돌발 지출 쿠션 1~2개월 생활비 단기 안전자산(단기채·MMF 등) 수리·의료비·이사 등 일시비만 ③ 기회 비축 1~2개월 생활비 현금/예금(분할 매수 대기) 시장 급락 시 분할 매수(사전 규칙 내) 팁: 세 계좌로 분리하면 심리적 혼동이 줄어듭니다. 특히 ①은 절대 투자로 전용하지 않습니다. 3) 현금화 계획(유동성 사다리) — “무엇을 먼저 팔까?” 우선순위 자산 주의사항 1 현금성(예금·CMA) 수수료·세금 없음, 즉시 2 단기 안전자산 환매·해지 시점 확인 3 수익 구간 자산 세금 발생값 고려(필요시 분할) ...

주간 자산 점검 루틴으로 습관 만들기 — 15분 체크리스트

이미지
자산 관리는 “큰 결심”보다 작은 습관 이 더 중요합니다. 저도 예전엔 월말에 한꺼번에 보려다 놓치기 일쑤였어요. 그래서 만든 게 주 1회 15분 루틴 입니다. 숫자를 간단히 확인하고, 필요한 것만 움직이는 방식이죠. 왜 ‘주간’ 루틴일까? 📆 속도 : 한 달을 기다리면 작은 편차가 큰 문제로 커집니다. 🧠 심리 : 자주 보되, 조정은 최소화 하면 충동을 줄입니다. 💸 비용 : 주간은 일간 대비 거래·세금 비용을 낮추는 균형점입니다. 원칙은 하나: “필요한 때에만, 필요한 만큼” . 15분 루틴(수요일 21:00 권장) 5분 — 데이터 업데이트 자산 시트에 현재 평가금액 만 갱신 → 비중·드리프트·도넛 차트가 자동 갱신. 5분 — KPI 확인 XIRR(내 돈), TWR(전략), 주식합산, 현금 버퍼(10~15%) , 드리프트(±20% 밴드), 경보 색상. 5분 — 액션 결정 밴드 이탈 자산만 최대 3%p 내에서 조정. 기록은 3문장 코멘트로. ※ 실행 시간은 장 마감 후로 고정(화/수/금 21:00 등). 장중 대응은 금지. 주간 점검 체크리스트(복붙) 항목 기준 확인 방법 / 수식(예) 상태 주식 합산 비중 ≤ 55% =SUMIF(자산열,"*주식*",현재w열) 🟢/🟡/🔴 현금 버퍼 10~15% =현금비중 🟢/🟡/🔴 드리프트(편차) |편차| ≤ 20% =(현재w-목표w)/목표w 조정 후보 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