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자산 점검 루틴으로 습관 만들기 — 15분 체크리스트
자산 관리는 “큰 결심”보다 작은 습관이 더 중요합니다. 저도 예전엔 월말에 한꺼번에 보려다 놓치기 일쑤였어요. 그래서 만든 게 주 1회 15분 루틴입니다. 숫자를 간단히 확인하고, 필요한 것만 움직이는 방식이죠.
왜 ‘주간’ 루틴일까?
- 📆 속도: 한 달을 기다리면 작은 편차가 큰 문제로 커집니다.
- 🧠 심리: 자주 보되, 조정은 최소화하면 충동을 줄입니다.
- 💸 비용: 주간은 일간 대비 거래·세금 비용을 낮추는 균형점입니다.
원칙은 하나: “필요한 때에만, 필요한 만큼”.
15분 루틴(수요일 21:00 권장)
- 5분 — 데이터 업데이트
자산 시트에 현재 평가금액만 갱신 → 비중·드리프트·도넛 차트가 자동 갱신. - 5분 — KPI 확인
XIRR(내 돈), TWR(전략), 주식합산, 현금 버퍼(10~15%), 드리프트(±20% 밴드), 경보 색상. - 5분 — 액션 결정
밴드 이탈 자산만 최대 3%p 내에서 조정. 기록은 3문장 코멘트로.
※ 실행 시간은 장 마감 후로 고정(화/수/금 21:00 등). 장중 대응은 금지.
주간 점검 체크리스트(복붙)
항목 | 기준 | 확인 방법 / 수식(예) | 상태 |
---|---|---|---|
주식 합산 비중 | ≤ 55% | =SUMIF(자산열,"*주식*",현재w열) | 🟢/🟡/🔴 |
현금 버퍼 | 10~15% | =현금비중 | 🟢/🟡/🔴 |
드리프트(편차) | |편차| ≤ 20% | =(현재w-목표w)/목표w | 조정 후보 표시 |
월 수익률(TWR) | 평균선 근처 | PRODUCT(1+월별 r)-1 | 추세 확인 |
지출 요약 | 예산 내(±5%) | =실지출/예산 - 1 | 절감 항목 1개 |
조정 규칙(간단·명확)
- 밴드 규칙: |편차| > 20%인 자산만 조정, 1회 이동량 ≤ 3%p
- 노출 캡: 주식합산 ≤ 55%, 섹터 ≤ 20%, 상관쌍(0.8↑) ≤ 25%
- 보수 모드: 20일 변동성 > 12% 또는 누적손익 ≤ -3R → 주식 -3%p·현금 +3%p 1주 유지
- 거래 비용: 예상 비용 > 기대 이익이면 보류
주간 로그(3문장 템플릿)
[무슨 일이 있었나] 주식합산 54.8%(정상), 채권 - 편차 +22% → 밴드 이탈. [원인] 금리 뉴스로 채권 약세, 현금 11.9%로 버퍼 유지. [다음 액션] 금요일 21:00 채권 +2%p, 주식 -2%p. 비용·체결 확인.
구글 캘린더·시트 연동 팁
- 🗓️ 캘린더 반복: 매주 수요일 21:00 “주간 자산 점검(15분)” 알림
- 📧 이메일 메모: 주간 로그 3문장을 본인 메일로 자동 전송(시트 Apps Script 간단 알림 함수 활용 가능)
- 📄 PDF 보관: 월 마지막 주 점검 내용은 1페이지 보고서에 합쳐 PDF로 보관
자주 묻는 질문
Q. 주간에 거래까지 해야 하나요?
아니요. 밴드 이탈 또는 보수 모드 조건을 충족할 때만 소액 조정합니다.
Q. 수치 기준은 고정인가요?
시작값입니다. 알림이 과다하면 밴드 ±25%, 과소면 ±15%로 조정하세요.
Q. 소액 투자도 의미가 있나요?
있습니다. 비중은 퍼센트로 관리되기 때문에 금액이 작아도 리스크 통제 효과가 있습니다.
마무리
주간 루틴의 목적은 “모든 걸 바꾸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일찍 발견하고 작게 고치는 것입니다. 오늘 15분을 일정에 넣고, 한 줄 로그부터 시작해 보세요. 꾸준함이 수익을 대신 설명해 줄 겁니다.
※ 교육용 정보이며 특정 상품 권유가 아닙니다. 수수료·세율·앱 기능은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 💧 비상금 3층 구조(생활비·돌발지출·시장 기회)
- 🛡️ 보험·보장 점검 체크리스트(과보장/중복보장 컷)
- 🔄 현금화 계획: 우선 매도 순서·세금/수수료 고려
- 🔔 위기 알림: 변동성·낙폭 기반 보수 모드 스위치
- 📅 90일 회복 로드맵: 지출 축소→현금 버퍼 회복→노출 재배치
“평시에 설계한 규칙”이 위기에서 우리를 지켜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