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시를 위한 3~6개월치 생활비 준비법 — 계산·계좌분리·자동이체·재충전 루틴
급락장, 해고, 예상치 못한 병원비. 현금 버퍼가 있으면 위기는 비용이 아니라 시간이 됩니다. 오늘은 필수지출 기준으로 3~6개월 비상자금을 계산하고, 계좌 분리·자동이체·인출 규칙, 사용 후 재충전 루틴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목표는 간단합니다. 언제든 3개월은 버틴다.
1) 몇 개월을 준비할까? (상황별 권장치)
가구 유형 | 권장 개월 | 이유/메모 |
---|---|---|
정규직 2인 소득 | 3~4개월 | 소득 다변화로 충격 분산 |
정규직 1인 + 부양가족 | 4~6개월 | 의존도 높음, 보수적 필요 |
프리랜서/자영업 | 6~9개월 | 소득 변동성 & 대금 지연 |
은퇴 전 과도기 | 9~12개월 | 시장 하락 시 인출 리스크 완충 |
가드레일과의 정합성: 총자산 중 현금은 10~15% 권장. 이 비중이 최소 3개월치 필수지출과 어긋나면, 개월 수 기준을 우선합니다.
2) “필수지출” 먼저 정의하기(선택/감정 분리)
- 필수: 주거(월세·대출이자·관리비), 식비, 교통, 통신, 교육 기본, 보험, 공공요금
- 선택: 외식·여행·쇼핑·구독(엔터), 취미, 고가 소모품
- 감정: 즉흥구매, 스트레스성 소비(24h 숙려)
3) 구글 시트 템플릿(복붙)
셀 | 라벨 | 값/수식 |
---|---|---|
A2 | 주거 | |
A3 | 식비 | |
A4 | 교통 | |
A5 | 통신 | |
A6 | 교육(기본) | |
A7 | 보험 | |
A8 | 공공요금 | |
A9 | 합계(필수) | =SUM(A2:A8) |
B2 | 목표 개월 | 예: 6 |
B3 | 비상자금 목표 | =A9*B2 |
B4 | 현재 비상자금 | |
B5 | 부족분 | =MAX(B3-B4,0) |
B6 | 달성 기간(개월) | 예: 9 |
B7 | 월 적립액 | =ROUNDUP(B5/B6,-3) |
반올림은 천원 단위로 올림(현금흐름 여유 확보). 선택·감정 지출은 별표로 관리합니다.
4) 어디에 보관할까? (안전·유동성·단순성)
선호 순서 | 수단 | 장점 | 주의 |
---|---|---|---|
1 | 입출금/파킹형 예치계좌 | 당일 사용, 수수료 낮음 | 금리 변동성 |
2 | CMA/MMF | 유동성 좋음, 분리 보관 | 상품 구조·수수료 확인 |
3 | 단기 국채/단기채 펀드(만기 1년↓) | 상대적으로 안정 | 가격 변동 가능, 비상금 전액엔 과하지 않게 |
- 계좌 분리: 비상금 전용 계좌는 체크카드 미발급, 자동이체만 입·출금.
- 레이블: 계좌명에 [비상금-6M]처럼 개월 수를 표기.
5) 어떻게 채울까? — 자동이체 라우팅
[급여일+1 자동 분배 예시] ① 비상금: 부족분이 0이 될 때까지 월 ____원(=시트 B7) 우선 입금 ② 고정비: 예상 고정비 합계 ③ 투자·목표: 나머지(정률) — 은퇴 50% · 교육 30% · 기타 20% [단계별 로드맵] D+30: 목표의 30% — 첫 1개월분 달성(필수) D+90: 목표의 60% — 2~3개월분 달성(권장) D+180: 목표의 100% — 3~6개월분 완성(가구별 권장치)
6) 언제 꺼낼까? — 인출 규칙(체크리스트)
- 허용: 실직·근로시간 축소, 의료·치과·수술, 차량/주거 필수 수리, 가족 긴급 지원
- 불허: 여행·명절 선물·가전 업그레이드·주식 추가 매수(기회비용 명목 불허)
- 절차: 인출 전 체크 3가지 — (1) 필수지출인가? (2) 유예 가능? (3) 대체 자금 있는가?
- 한도: 월 필수지출 한도까지만 인출, 초과분은 별도 결재
7) 사용 후 재충전 루틴(빨리 회복하기)
- 재충전 비율: 소득 회복 후 가용 잉여의 30~50%를 비상금으로 우선 적립(원상회복 시까지).
- 임시 절약: 구독 -1, 외식 -20%, 대체 교통 2주 → 재충전 기간 단축.
- 보너스/환급: 50%는 비상금으로 자동 편성(일시금 트리거).
8) 스트레스 테스트(현실 점검)
[1주 리허설] ① “필수지출 예산”만 사용해 7일 생활 ② 자동이체/고정비가 실제와 일치하는지 확인 ③ 목표 개월 수 재평가(±1개월 조정)
9) 대시보드 연동(한 페이지 점검)
지표 | 수식/방법 | 판정 |
---|---|---|
비상자금 달성률 | =현재비상금 / 목표비상금 | 🟢 ≥ 100% / 🟡 70~99% / 🔴 < 70% |
현금 비중 | =현금성자산 / 총자산 | 권장 10~15% (상황별 가감) |
인출 로그 | 체크박스 + 사유 + 금액 + 재충전 계획 | 월 1회 리뷰 |
10) 자주 묻는 질문
- Q. 비상금이 너무 커 보입니다. 투자 기회를 놓치지 않을까요?
A. 비상금은 손실 회피 보험입니다. 위기 시 강제 매도를 막아 장기 수익률을 지켜 줍니다. - Q. 카드 리볼빙/마이너스통장으로 대체해도 되나요?
A. 권하지 않습니다. 금리·수수료로 위기가 빚으로 전환됩니다. - Q. 물가가 높은데 목표를 늘려야 하나요?
A. 12개월마다 필수지출 합계를 재산정해 목표 개월 수를 유지하세요.
11) 인쇄용 한 장(체크리스트)
[필수지출/월] 주거 ____ 식비 ____ 교통 ____ 통신 ____ 교육 ____ 보험 ____ 공공요금 ____ 합계 ____원 [목표개월] ____개월 → 목표 비상금 ____원 / 현재 ____원 / 부족 ____원 / 월 적립 ____원 [계좌] 은행 ______ (계좌명 [비상금-__M]) / 체크카드 미발급 / 자동이체 ON [규칙] 허용 사유만 인출 · 월 필수한도 내 · 인출 즉시 재충전 계획 수립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 ≤55% · 드리프트 ≤20% (분기 리뷰 외 변경 금지)
마무리 — 비상자금은 마음의 안전망입니다. 오늘 시트를 만들어 필수지출×개월로 목표를 고정하고, 급여일+1 자동이체와 인출 규칙을 설정하세요. 위기는 지나가고, 시스템은 남습니다.
※ 교육용 일반 정보입니다. 금융상품·세율·수수료·계좌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 다음 글 예고 | 현금 유동성, 투자만큼 중요한 이유
- 유동성 프리미엄: 기회 포착과 강제매도 방지의 가치
- 현금 10~15% 가드레일의 근거와 사례
- 현금성·중기·장기 버킷 간 자금 이동 규칙
- 유동성 vs 수익률의 균형점 찾기
다음 편에서 유동성의 정량·정성 가치를 숫자로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