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투자 자동화를 넘어 시스템 트레이딩으로 — 규칙, 데이터, 백테스트, 사이징, 워크포워드

자동화가 단순히 매수·매도만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이라면, 시스템 트레이딩은 그보다 한층 더 구조적인 접근입니다. 이 글에서는 규칙, 데이터, 검증, 계산 방식까지 명확한 기준을 갖춘 ‘시스템’의 틀을 설명합니다.

시스템 트레이딩이란?

시스템 트레이딩은 일정한 규칙과 조건에 따라 의사결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거래 전략입니다. 단순한 알림 수준을 넘어서, 진입 → 청산 → 중단 → 복귀의 흐름을 하나의 논리로 구성합니다.

  • 진입: 예) RSI 30 이하 & 이동평균 상향 돌파 시 매수
  • 청산: 예) +2R 익절 또는 -1.5R 손절
  • 중단: 누적 손실 -3R 초과 시 신규 거래 중지
  • 복귀: 10일 수익률 회복 시 거래 재개

데이터: 전략의 토대

시스템 전략은 데이터의 품질과 범위에 따라 성능이 결정됩니다. 주요 검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제 데이터: 스플릿, 배당, 거래정지 반영
  • 편향 제거: 생존자 편향 제거, 거래가능 종목만 추출
  • 지연 고려: 가격/지표 신호 후 1~2틱 지연 적용
  • 시장 캘린더: 휴장일·데이터 결측일 제거

백테스트: 과거에서 검증

전략이 실행되기 전, 반드시 백테스트로 과거 성능을 검증해야 합니다. 수익률만큼 중요한 것은 변동성과 손실입니다.

  • 성과 지표: CAGR, MDD, Sharpe, 승률, 평균 손익비
  • 비용 반영: 수수료·슬리피지 포함
  • 검증구간: 훈련 2년(IS) / 테스트 1년(OS) / 워크포워드 2년(WF)

워크포워드 테스트는 전략이 실제로 지속 가능할지를 확인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사이징: 리스크의 핵심

포지션 크기는 수익률보다 리스크 제어를 위해 존재합니다. 대표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1R 기준: 계좌 가치의 0.5~1% 손실이 1R
  • Kelly Formula: 기대수익률·분산 기반 계산
  • Equal Risk: 모든 자산이 같은 리스크 비중

과도한 레버리지는 단기 수익률을 높일 수 있지만, 장기적 생존을 위협합니다.

마무리하며

시스템 트레이딩은 단순한 자동화가 아니라 계획된 의사결정의 자동화입니다. 규칙·데이터·검증·사이징이 하나로 엮일 때, 비로소 신뢰할 수 있는 자동화가 완성됩니다.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내 자산이 자동화에 적합한가?”를 검토하는 체크리스트와 점검법을 소개합니다. 실제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테스트하고 점검하는 방법까지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

지금의 자동화 전략, 과연 제대로 작동 중일까요? 다음 글에서는 자동화를 시작하기 전 또는 실행 중인 전략의 상태를 객관적 수치와 체크리스트로 점검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예고: 자산 점검 체크리스트 구성

  • ✅ 최근 1년 수익률, 변동성, 최대낙폭
  • ✅ 비중 초과 종목·섹터·자산군 여부
  • ✅ 리밸런싱 기록·간격 일관성
  • ✅ 데이터 결측률 및 자동 업데이트 확인

자동화 전략은 한 번 설정한 뒤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