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의 마법, 장기 투자 시나리오 — 20·30년 시뮬레이션·명목/실질·시퀀스 리스크


단기 수익은 운이 섞입니다. 그러나 복리는 시간이 길수록 예측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오늘은 월 50만 원을 기준으로 20·30년 장기 시나리오를 계산하고, 명목 vs 실질, 시퀀스 리스크, 가드레일까지 정리합니다. 핵심은 간단합니다. 오래, 꾸준히, 규칙대로.


1) 시나리오 가정(수정 가능한 기본값)

항목설명값(기본)
월 납입액매월 말 적립₩500,000
기간20년, 30년(= 240, 360개월)20·30년
연 기대수익률(총)보수/중립/공격3.0% / 5.0% / 7.0%
연 총비용률보수·거래비용0.4%p / 0.3%p / 0.4%p
수익률수익률 − 비용률2.6% / 4.7% / 6.6%
연 물가상승률실질가치 환산2.0%

※ 본 글의 수치는 계산 예시입니다. 상품·세금·수수료·계약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 월 순수익률 r = (1+연순)^(1/12)-1
  • 명목 FV = FV(r,개월,-월납입,0) (월말 납입, pmt는 음수)
  • 실질 FV = 명목 / (1+물가)^년수
라벨값/수식
A2월 납입액500000
A3기간(년)20
A4연 순수익률보수:0.026 / 중립:0.047 / 공격:0.066
A5연 물가0.02
B2월 순수익률=(1+선택연순)^(1/12)-1
B3개월=12*A3
B4미래가치(명목)=FV(B2,B3,-A2,0)
B5미래가치(실질)=B4/((1+A5)^A3)


3) 20년 결과(예시 계산)

시나리오연 순수익률명목(20년)실질(물가 2.0%)메모
보수 2.6% ≈ ₩156,800,000 ≈ ₩105,500,000 원금 1.2억 → 약 1.57억
중립 4.7% ≈ ₩196,000,000 ≈ ₩131,900,000 비용 반영 후
공격 6.6% ≈ ₩242,800,000 ≈ ₩163,400,000 변동성↑, 가드레일 필수


4) 30년 결과(예시 계산)

시나리오연 순수익률명목(30년)실질(물가 2.0%)메모
보수 2.6% ≈ ₩270,900,000 ≈ ₩149,600,000 복리 시간 효과
중립 4.7% ≈ ₩386,200,000 ≈ ₩213,500,000 원금 1.8억 → 약 3.86억
공격 6.6% ≈ ₩543,200,000 ≈ ₩300,000,000 리스크 관리가 성패 좌우

※ 위 수치는 계산 편의를 위한 근사치(≈)입니다. 자신의 수치로 시트에 대입해 확인하세요.


5) 시퀀스 리스크(수익률의 순서가 결과를 바꾸는 이유)

  • 적립기에는 초기 하락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수량 매수).
  • 인출기에는 초반 하락이 자산을 크게 훼손합니다. 목표 자금 인출 3~5년 전부터 현금/채권 비중을 늘려 방어하세요.
  • 자동화 팁: 금 21:00 1회 창구, 리밸런싱은 이탈 자산만 1~3%p 조정.


6) 가드레일(장기 생존 규칙)

  • 현금 10~15% 유지 — 소득/시장 충격 흡수
  • 주식 합산 ≤ 55% — 과노출 방지
  • 드리프트 |편차| ≤ 20% — 이탈 자산만 1~3%p 조정(장 마감 후)
  • 총비용률 ≤ 0.6%p/년 — 비용은 확정 손실
  • 쿨다운: 일손실 -1.5% 또는 -1R → 24h 신규 중단


7) 시트 확장(차트·민감도·PDF)

모듈내용
누적 곡선 월별 잔고 라인 차트 목표선과 함께 표시
민감도 그리드 월 납입 ±10만, 연순 ±1%p 데이터 유효성으로 빠르게 가정 전환
PDF 리포트 월말 1페이지 스냅샷 앱스크립트로 자동 메일 발송


8) 인쇄용 한 장(요약)

[입력] 월 50만 · 20/30년 · 연순 2.6/4.7/6.6% · 물가 2.0%
[20년 명목/실질] 보수 1.57억/1.06억 · 중립 1.96억/1.32억 · 공격 2.43억/1.63억
[30년 명목/실질] 보수 2.71억/1.50억 · 중립 3.86억/2.14억 · 공격 5.43억/3.00억
[규칙] 현금 10~15% · 주식 ≤55% · 드리프트 ≤20% · 1회 이동 ≤3%p · 일손실 -1.5%→24h


9) 자주 묻는 질문

  • Q. 월 초 납입이 더 유리한가요?
    A. 동일 조건이면 월 초가 복리 적용 기간이 길어 조금 유리합니다. 시트의 type 옵션으로 비교해 보세요.
  • Q. 20년과 30년 중 어떤 선택이 나을까요?
    A. 시간은 복리의 핵심 레버입니다. 여유가 된다면 기간을 늘리는 것이 금액을 늘리는 것보다 효과가 큽니다.

마무리 — 복리는 느리지만 강력합니다. 오늘 시트를 만들어 내 수치(수익률·비용·물가)를 넣고, 가드레일을 설정해 오래·꾸준히·규칙대로를 현실로 바꿔 보세요.

※ 교육용 일반 정보입니다. 금융상품·세율·수수료·계약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 다음 글 예고 | 연 7% 수익률, 실현 가능한가?

  • 명목 vs 실질 7%: 물가·비용 차감 후 체감 수익률은?
  • 글로벌 주식·채권 혼합 포트폴리오의 현실적 밴드
  • 세금/비용을 고려한 수익률 목표 설정법
  • 가드레일(주식 ≤55%·현금 10~15%·드리프트 ≤20%)에서 달성 확률 높이는 방법

다음 편에서 장기 데이터 관점의 7% 논쟁을 숫자로 풀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