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물가인 게시물 표시

매달 얼마씩 투자해야 2억이 될까? - 7·10·15년 PMT 계산표(물가·비용 반영)

이미지
목표는 2억원(오늘 가치) . 그럼 매달 얼마를 넣어야 할까요? 답은 물가 와 비용 까지 넣어 PMT 로 역산하면 금방 나옵니다. 아래 표는 연 순 수익률 2.6% / 4.7% / 6.6%의 3가지 시나리오에서 7·10·15년 에 필요한 월 납입액을 계산한 예시입니다(기본 가정: 물가 2%/년, 현재 적립 0원). 1) 기본 가정 항목 설명 값(수정 가능) 목표 금액(오늘 가치) 물가 반영 전 ₩200,000,000 연 물가상승률 명목 목표 환산 2.0% 연 순 수익률 수익률 − 비용률 2.6% / 4.7% / 6.6% 현재 적립금 해당 목표에 이미 쌓인 금액 ₩0 (예시) 납입 시점 월말 납입(표준) 기말(type=0) ※ 상품·세금·수수료는 개인별로 다릅니다. 수치는 계산 예시 이며 실제 조건은 금융기관 공지로 확인하세요.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연순 = 기대수익률 − 총비용률, 월 r = (1+연순)^(1/12)-1 명목 목표 = 오늘가치*(1+물가)^년 월 납입액 = ABS(PMT(월r, 개월, -현재적립, 명목목표, 0)) 3) 결과표 — 2억원 달성을 위한 월 납입액(예시 계산) 기간 명목 목표(물가 2%) 연순 2.6% 연순 4.7% 연순 6.6% 7년(84개월) ≈ ₩229,740,000 ≈ ₩2,510,000/월 ≈ ₩2,330,000/월 ≈ ₩2,170...

목표 금액에서 거꾸로 계산하는 재무 계획 — PMT·RATE·NPER 역산 템플릿

이미지
“얼마를 모을 수 있을까?”보다 먼저 해야 할 질문이 있습니다. “언제까지 얼마가 필요하죠?” 오늘은 목표 금액·기한·물가·비용을 넣고 월 납입액 · 필요 수익률 · 필요 기간 을 거꾸로 계산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구글 시트의 PMT , RATE , NPER 만 알면 됩니다. 1) 입력값(필수 6가지) 항목 설명 입력 예시 목표 금액(오늘 가치) 물가 반영 전 목표 예: ₩100,000,000 기한(년) 목표 달성까지 남은 시간 예: 10 연 기대수익률 자산배분 기준 명목 기대치 예: 5.0% 연 총비용률 보수·거래·기타 비용 예: 0.4%p 연 물가상승률 실질가치 환산 예: 2.0% 현재 적립금 해당 목표에 이미 쌓인 금액 예: ₩10,000,000 ※ 상품·세금·수수료는 개인별로 다릅니다. 본 글의 수치는 계산 예시이며, 실제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2) 역산 루트 3가지(무엇을 모를 때인가?) 월 납입액 이 궁금하면 → PMT 필요 수익률 이 궁금하면 → RATE 필요 기간 이 궁금하면 → NPER 3) 구글 시트 템플릿(복붙) 셀 라벨 값/수식 A2 목표 금액(오늘) 예: 100000000 A3 기간(년) 예: 10 A4 연 기대수익률 예: 0.05 A5 연 총비용률 예: 0.004 A6 연 물가 예: 0.02 A7 현재 적립금 예: 10000000 아래 수식을 정확히 해당 셀에 입력하세요. B...

연 7% 수익률, 실현 가능한가? — 명목·실질·순수익률 해부와 ‘7%의 현실’

이미지
많은 분이 “연 7%”를 암묵적 기준처럼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숫자는 명목→실질→순수익률 로 분해해서 봐야 현실이 보입니다. 오늘은 7%를 목표 가 아니라 체계의 결과 로 바꾸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비용·세금·물가·리스크·기간·납입액. 1) 7%를 해부하기: 명목 → 실질 → 순수익률 단계 의미 예시 메모 명목 수익률 시장 수익률 가정(총) 예: 7.0% 지수/자산 혼합의 장기 평균을 가정 실질 수익률 명목 − 물가 7.0% − 2.0% = 5.0% 생활 체감 성장률 순수익률 실질 또는 명목에서 비용·세금 차감 명목 7.0% − 비용 0.5%p − 세금 가정 계좌·상품마다 다름(ISA/연금저축 등) 핵심: 같은 “7%”라도 물가·비용·세금 처리에 따라 체감 수익률은 크게 달라집니다. 2) 현실적인 포트폴리오 밴드(가정 예시) 유형 구성 예시 명목 기대 구간(연) 변동성 체감 코멘트 보수 채권 60~80% · 주식 20~40% 3~5% 낙폭 작음 목표 자금까지 0~7년 균형 주식 35~55% · 채권 45~65% 4~6% 중간 ...

복리의 마법, 장기 투자 시나리오 — 20·30년 시뮬레이션·명목/실질·시퀀스 리스크

이미지
단기 수익은 운이 섞입니다. 그러나 복리 는 시간이 길수록 예측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오늘은 월 50만 원을 기준으로 20·30년 장기 시나리오를 계산하고, 명목 vs 실질 , 시퀀스 리스크 , 가드레일 까지 정리합니다. 핵심은 간단합니다. 오래, 꾸준히, 규칙대로 . 1) 시나리오 가정(수정 가능한 기본값) 항목 설명 값(기본) 월 납입액 매월 말 적립 ₩500,000 기간 20년, 30년(= 240, 360개월) 20·30년 연 기대수익률(총) 보수/중립/공격 3.0% / 5.0% / 7.0% 연 총비용률 보수·거래비용 0.4%p / 0.3%p / 0.4%p 연 순 수익률 수익률 − 비용률 2.6% / 4.7% / 6.6% 연 물가상승률 실질가치 환산 2.0% ※ 본 글의 수치는 계산 예시입니다. 상품·세금·수수료·계약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월 순수익률 r = (1+연순)^(1/12)-1 명목 FV = FV(r,개월,-월납입,0) (월말 납입, pmt 는 음수) 실질 FV = 명목 / (1+물가)^년수 셀 라벨 값/수식 A2 월 납입액 500000 A3 기간(년) 20 A4 연 순수익률 보수:0.026 / 중립:0.047 / 공격:0.066 A5 연 물가 0.02 B2 월 순수익률 =(1+선택연순)^(1/12)-1 B3 개월 =12*A3 B4 미래가치(명목) =FV(B2,B3,-A2,0) ...

월 50만 원 투자로 10년 후 얼마가 될까? — 3시나리오·물가 반영·민감도 표

이미지
“월 50만 원, 10년이면 얼마나 모일까?” 답은 시나리오와 수수료, 물가 를 함께 넣어야 정확합니다. 오늘은 구글 시트 수식으로 명목 과 실질(오늘 가치) 금액을 계산하고, 보수/중립/공격 3가지 순수익률 가정과 민감도 표 까지 한 번에 세팅합니다. 1) 입력값(기본 가정 6가지) 항목 설명 기본값(수정 가능) 월 납입액 매월 말 적립 ₩500,000 기간 총 개월 수 = 120 10년 연 기대수익률(총) 보수/중립/공격 3.0% / 5.0% / 7.0% 연 총비용률 펀드보수·거래비용 0.4%p / 0.3%p / 0.4%p 연 순 수익률 수익률 − 비용률 2.6% / 4.7% / 6.6% 연 물가상승률 실질가치 환산 2.0% ※ 상품·세금·수수료는 개인별로 다릅니다. 본 글의 수치는 계산 예시이며, 실제 조건은 해당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연 순수익률 = 연 기대수익률 − 연 총비용률 월 납입은 pmt 에 음수 로 넣으면 결과가 양수로 표시됩니다. 셀 라벨 값/수식 A2 월 납입액 500000 A3 기간(년) 10 A4 연 순수익률(보수/중립/공격) 0.026 / 0.047 / 0.066 A5 연 물가상승률 0.02 B2 월 순수익률(r) =(1+선택한연순수익률)^(1/12)-1 B3 전체 개월(n) =12*A3 B4 미래가치(명목) =FV(B2,B3,-A2,0) B5 실질가치(오늘 기준) =B4/((1+A5)...

미래가 불확실할수록 목표는 분명해야 한다 — 3층 목표·물가 연동·자금 배분 지도

이미지
시장과 금리는 바뀝니다. 그래서 더더욱 목표는 흔들리지 않아야 합니다. 오늘은 3층 목표(안전·성장·꿈)로 구조화하고, 물가까지 반영한 금액 을 계산한 뒤, 월 저축액과 배분 규칙을 정해 오토파일럿 에 연결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1) 3층 목표로 구조부터 잡기 층 내용 예시 권장 운용 안전 생활 안정·위기 대응 비상금 3~6개월(자영업 9~12), 보험 공백 보완 현금·CMA·단기채(만기 1년↓) 성장 중장기 필수 목표 은퇴·교육·내 집 마련 중도금 등 목표 시계열에 맞춘 채권/혼합/주식, 주식합산 ≤55% 꿈 선택·라이프스타일 세계여행, 취미 설비, 리모델링 기간·리스크 허용 범위 내 적립식 기준선: 현금 10~15%, 주식 합산 ≤55%, 드리프트 |편차| ≤20%(이탈 자산만 1~3%p 조정, 장 마감 후). 2) 목표를 ‘문장 → 숫자’로 바꾸는 3단계 이름 : “은퇴 생활비 보전”, “자녀 대학 등록금”, “5년 내 보금자리” 금액(오늘 가치) : 현재 가격 기준으로 적기(예: 4,000만원) 기한 : 시작·달성 날짜(예: 2030-12-31) 3) 물가 연동과 월 저축액 계산(구글 시트 수식) 셀 라벨 값/수식 A2 목표 금액(오늘가치) A3 기간(년)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