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얼마씩 투자해야 2억이 될까? - 7·10·15년 PMT 계산표(물가·비용 반영)
목표는 2억원(오늘 가치). 그럼 매달 얼마를 넣어야 할까요? 답은 물가와 비용까지 넣어 PMT로 역산하면 금방 나옵니다. 아래 표는 연 순수익률 2.6% / 4.7% / 6.6%의 3가지 시나리오에서 7·10·15년에 필요한 월 납입액을 계산한 예시입니다(기본 가정: 물가 2%/년, 현재 적립 0원).
1) 기본 가정
항목 | 설명 | 값(수정 가능) |
---|---|---|
목표 금액(오늘 가치) | 물가 반영 전 | ₩200,000,000 |
연 물가상승률 | 명목 목표 환산 | 2.0% |
연 순수익률 | 수익률 − 비용률 | 2.6% / 4.7% / 6.6% |
현재 적립금 | 해당 목표에 이미 쌓인 금액 | ₩0 (예시) |
납입 시점 | 월말 납입(표준) | 기말(type=0) |
※ 상품·세금·수수료는 개인별로 다릅니다. 수치는 계산 예시이며 실제 조건은 금융기관 공지로 확인하세요.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 연순 = 기대수익률 − 총비용률, 월 r = (1+연순)^(1/12)-1
- 명목 목표 = 오늘가치*(1+물가)^년
- 월 납입액 = ABS(PMT(월r, 개월, -현재적립, 명목목표, 0))
3) 결과표 — 2억원 달성을 위한 월 납입액(예시 계산)
기간 | 명목 목표(물가 2%) | 연순 2.6% | 연순 4.7% | 연순 6.6% |
---|---|---|---|---|
7년(84개월) | ≈ ₩229,740,000 | ≈ ₩2,510,000/월 | ≈ ₩2,330,000/월 | ≈ ₩2,170,000/월 |
10년(120개월) | ≈ ₩243,800,000 | ≈ ₩1,780,000/월 | ≈ ₩1,600,000/월 | ≈ ₩1,460,000/월 |
15년(180개월) | ≈ ₩269,180,000 | ≈ ₩1,230,000/월 | ≈ ₩1,040,000/월 | ≈ ₩890,000/월 |
계산 근거: r=연순의 12제곱근−1, PMT 기말 기준. 반올림으로 1~2만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4) 현재 적립금이 있다면? (예: 2,000만원 보유)
- 예시: 10년·연순 4.7%에서 현재 적립 ₩20,000,000 보유 시 월 납입액이 약 ₩1,600,000 → ₩1,400,000 수준으로 완화(≈ -20만원).
- 공식: PMT(월r, n, -현재적립, 명목목표) — 현재 적립은 음수로 넣어야 합니다.
5) 민감도 표 — 월 납입 ±10%, 연순 ±1%p, 기간 ±2년
변수 | -변경 | 기준 | +변경 | 적용 방법 |
---|---|---|---|---|
월 납입 | =기준*0.9 | =위 표 값 | =기준*1.1 | PMT 입력만 조정 |
연 순수익률 | 기준−0.01 | 2.6/4.7/6.6% | 기준+0.01 | r 재계산→PMT |
기간(년) | =기준−2 | =7/10/15 | =기준+2 | 개월 n 재계산→PMT |
6) 구글 시트 템플릿(복붙용 미니 표)
셀 | 라벨 | 값/수식 |
---|---|---|
A2 | 목표(오늘) | 200000000 |
A3 | 기간(년) | 예: 10 |
A4 | 연 순수익률 | 예: 0.047 |
A5 | 연 물가 | 0.02 |
A6 | 현재 적립 | 예: 0 |
B2 | 월 r | =(1+A4)^(1/12)-1 |
B3 | 개월 n | =12*A3 |
B4 | 명목 목표 | =A2*(1+A5)^A3 |
B5 | 월 납입액 | =ABS(PMT(B2,B3,-A6,B4,0)) |
7) 안전 가드레일(실행의 기본선)
- 현금 10~15% 유지 — 소득/시장 충격 흡수
- 주식 합산 ≤ 55% — 과노출 방지
- 드리프트 |편차| ≤ 20% — 이탈 자산만 1~3%p 조정(장 마감 후)
- 총비용률 ≤ 0.6%p/년 — 비용은 확정 손실
8) 인쇄용 한 장(요약)
[목표] 2억원(오늘) · 물가 2% [월 납입] 7년: 연순 2.6/4.7/6.6% → 약 251/233/217만원 10년: 약 178/160/146만원 15년: 약 123/104/ 89만원 [팁] 현재 적립이 있을수록 PMT↓ / 월 초 납입이 약간 유리(type=1 비교)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 ≤55% · 드리프트 ≤20% · 1회 이동 ≤3%p
9) 자주 묻는 질문
- Q. 세금은 어떻게 반영하나요?
A. 본 표는 순수익률(수수료 차감) 기준 예시입니다. 세금은 계좌/상품별로 달라 별도 가정이 필요합니다(보수적으로 연순을 -0.3~0.5%p 낮춰보정). - Q. 월 초 납입이 더 유리한가요?
A. 네. 복리 적용 기간이 길어져 소폭 유리합니다. PMT(..., type=1)로 비교해 보세요.
마무리 — “얼마나 벌 수 있나”보다 “매달 얼마나 넣을 수 있나”가 더 강력한 레버입니다. 오늘 시트를 만들어 자신의 숫자를 입력하고, 납입·기간·비용 중 무엇을 바꿀지 결정해 보세요.
※ 교육용 일반 정보입니다. 금융상품·세율·수수료·계약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 다음 글 예고 | 내가 계획대로 가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 진행률 대시보드: 월 PMT 달성률·목표 진행 바·자동이체 체크
- 성과 지표: 월 TWR·변동성·MDD·총비용률의 한 줄 진단
- 오차 수정: 달성률 < 80%일 때 IF–THEN(비목 조정·기간 연장·PMT 증액)
- 자동화: 월말 PDF 스냅샷·금 21:00 1회 창구 리마인더
다음 편에서 체크리스트와 구글 시트 템플릿으로 ‘계획 vs 실제’를 한 페이지에 보여드립니다.